대부업 연체자의 60% 이상은 이미 다른 금융권에도 연체를 하고 있는 등 서민 연체자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이들의 연체율도 은행 연체율의 24배에 달하는 등 심각한 수준으로 드러났다. 1일 한국대부금융협회가 지난해 말 기준 한국신용정보와 한국신용평가정보가 보유한 대부업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부업체 이용자 137만 8579명 중 연체기준인 '3개월 이상 50만원 초과'에 해당하는 사람은 26만 1516명으로 전체의 19%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말 기준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0.8%의 23.8배, 저축은행 연체율 13%의 1.5배에 달하는 수치다. 또 이들 가운데 대부업체 이외의 금융회사에서도 연체한 기록이 있는 사람은 모두 16만 1977명으로 전체 연체자의 62%에 달했다.

특히 이들은 연체금액이 높을 수록 타 금융사에도 연체하고 있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1000만 원 이상 연체자의 81%는 다른 금융기관에도 연체자로 등록된 상태이고, 500만~1000만 원 연체자의 76%, 400만~500만 원 연체자의 54%, 300만~400만 원 연체자의 41%가 이중 연체자였다. 이는 신용등급이 낮아 제도권 금융기관에서 더이상 대출을 할 수 없는 고객들이 고금리에도 불구하고 대부업을 찾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지난해 9월 말 기준 대부업체 이용자 138만 3514명 중 최하 신용등급인 10등급이 36만 2179명으로 전체의 26%를 차지했다.

이어 9등급 18%, 8등급 21%, 7등급 19% 등 신용 하위 4개 등급이 전체 이용자의 85%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등록 대부업체는 49%, 미등록 업체는 30%의 고금리가 붙게 되므로 사용전 주의해야 한다”며 “일단 사용하면 이자부담으로 연체를 하는 경우가 많아 신용등급이 더욱 낮아져 가계 경제의 악순환이 발생하기 쉽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 “사용 전 금융감독원 홈페이지를 통해 대부업체의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