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교육청은 도내 9개 전문계고를 취업기능강화 특성화사업 대상학교로 선정한 가운데 지난해 같은 사업대상학교로 선정된 학교의 취업률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해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부터 실시된 교육과학기술부의 취업기능강화특성화사업은 충북에서 9개 전문계고교를 비롯, 전국에서 200여개 전문계교를 선정하고 있다.
이중 지난해 사업대상으로 선정된 도내 9개 전문계고교의 평균 취업률은 지난해 12.6%에서 올해는 21.9%로 2배 가까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취업률이 높아진 것은 취업기능강화특성화사업 대상학교에는 산학협력, 전문가 초청 특강, 진로지도 강화 교육 등 취업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학교 특성에 맞게 운영할 수 있고 매년 사업타당성과 취업률 등을 평가받아 실적이 저조한 경우는 탈락되는 등 엄격한 규제가 따르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충북의 경우 지난해 이어 재선정된 학교는 한림디자인고, 충북인터넷고, 충주농고, 부강공고, 제천디지털전자고, 증평정보고, 증평공고 등 7개교이며 올해 신규 지정 학교는 충북공고, 진천생명과학고 등 2개교이다.
또한 부강공고와 증평 정보고는 취업기능 강화 특성화 사업 연구학교로 지정·운영된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
지난해부터 실시된 교육과학기술부의 취업기능강화특성화사업은 충북에서 9개 전문계고교를 비롯, 전국에서 200여개 전문계교를 선정하고 있다.
이중 지난해 사업대상으로 선정된 도내 9개 전문계고교의 평균 취업률은 지난해 12.6%에서 올해는 21.9%로 2배 가까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취업률이 높아진 것은 취업기능강화특성화사업 대상학교에는 산학협력, 전문가 초청 특강, 진로지도 강화 교육 등 취업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학교 특성에 맞게 운영할 수 있고 매년 사업타당성과 취업률 등을 평가받아 실적이 저조한 경우는 탈락되는 등 엄격한 규제가 따르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충북의 경우 지난해 이어 재선정된 학교는 한림디자인고, 충북인터넷고, 충주농고, 부강공고, 제천디지털전자고, 증평정보고, 증평공고 등 7개교이며 올해 신규 지정 학교는 충북공고, 진천생명과학고 등 2개교이다.
또한 부강공고와 증평 정보고는 취업기능 강화 특성화 사업 연구학교로 지정·운영된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