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시세보다 싸게 팔아도 사가는 손님이 없습니다.”

대전 중앙로 지하상가에서 금은방을 운영하는 A씨는 “금값이 오른 것만큼 소비자들에게 비싸게 판매할 수 없어 기존에 매입한 금을 할인판매하고 있지만 손님들의 반응이 없다”며 울상이다.

하루가 다르게 치솟는 가격 때문에 금거래가 되지 않아 금소매상인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한국금거래소에 따른 26일 금 도매가격은 순금 한 돈(3.75g)에 19만 3050원으로 전일보다 3850원 상승했고 최근 일주일 동안 상승한 금값은 약 1만 원이다. 또한 소매가격도 20만 5000원을 넘어섰다.

실정이 이렇다 보니 금은방을 방문하는 손님을 찾아보기 어렵다.

특히 자금력이 부족한 영세업자들의 경우 폐업을 하거나 업종을 변경할 수밖에 없다.

금값이 폭등해 예전 같이 30%이상의 마진을 내기 어렵고 귀금속을 찾는 소비자수도 급격히 줄었기 때문이다.

또한 경기의 영향으로 8만~15만 원대의 목걸이, 20만~30만 원대의 커플링 등 저가제품들만 팔리고 있다는 것이 업자의 설명이다.

하지만 ‘원가세일’, ‘최저가판매’를 내세운 소형 매장과 달리 대형 귀금속 매장은 현 시세대로 금을 판매하고 있었다.

자체적으로 디자인한 제품을 판매하는 업체 대표는 “금이 꼭 필요한 사람은 산다”면서 “소비자들은 금값이 비싸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으로 승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금은방 주인은 “금값은 하루에 5000원씩 오르기 쉽지만 한 달에 1만 원 이상 떨어지기 어렵다”면서 “금이 필요한 소비자는 되도록 빨리 구매하는 것이 이익이다”고 주장했다.

한편 비싼 금값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들은 저렴한 패션 악세서리를 찾고 있는 추세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