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찾으면 손해를 보는데, 한 달이라도 버텨야죠.”
이 모(30·여·대전시 유성구) 씨는 지난달 정기예금 만기가 찾아왔지만 아직까지도 돈을 찾지 않고 있다.
이 씨는 “현재 보통예금에 비하면 높은 이자일 뿐 아니라, 지금 만기된 예금을 찾아도 마땅히 맡길 곳이 없다”며 “조만간 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얘기가 있어 지켜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정기예금 만기가 되도 돈을 찾지 않는 고객들이 늘면서 은행들을 당혹케 하고 있다.
고객들이 만기 후 부과되는 잔여금리가 오히려 현재 새로 가입하는 보통예금 금리보다 높다는 것을 알고 고의로 방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금리가 조만간 인상될 것이라는 분위기에 고객들은 혹시라도 당장 다음달에 금리가 인상될 것을 기대하며 돈 찾기를 주저하는 모습이다.
실제 이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인상 시기가 임박했음을 시사한데다, 최근에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을 비롯한 금융권이 15개월 째 동결된 기준금리 인상을 요구 하고 있어 이 같은 분위기에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 씨는 “주변 지인들도 이자가 오를 때까지 최대한 버티려는 분위기”라고 귀띔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이 모(30·여·대전시 유성구) 씨는 지난달 정기예금 만기가 찾아왔지만 아직까지도 돈을 찾지 않고 있다.
이 씨는 “현재 보통예금에 비하면 높은 이자일 뿐 아니라, 지금 만기된 예금을 찾아도 마땅히 맡길 곳이 없다”며 “조만간 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얘기가 있어 지켜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정기예금 만기가 되도 돈을 찾지 않는 고객들이 늘면서 은행들을 당혹케 하고 있다.
고객들이 만기 후 부과되는 잔여금리가 오히려 현재 새로 가입하는 보통예금 금리보다 높다는 것을 알고 고의로 방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금리가 조만간 인상될 것이라는 분위기에 고객들은 혹시라도 당장 다음달에 금리가 인상될 것을 기대하며 돈 찾기를 주저하는 모습이다.
실제 이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인상 시기가 임박했음을 시사한데다, 최근에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을 비롯한 금융권이 15개월 째 동결된 기준금리 인상을 요구 하고 있어 이 같은 분위기에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 씨는 “주변 지인들도 이자가 오를 때까지 최대한 버티려는 분위기”라고 귀띔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