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서구 둔산동의 고속·시외버스정류소가 출·퇴근 시간대와 주말마다 심각한 교통체증을 유발, 시민들로부터 원성을 사고 있다. 지난 1998년 대전정부종합청사 공무원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임시로 설치된 둔산동 고속·시외버스정류소는 현재까지도 자체 부지를 확보하지 못한 채 인도를 점령하고 있어 시민들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 정류소는 건립 당시 '임시'라는 조건부 형태로 설치됐기 때문에 별도의 주차장 및 승·하차장 등의 기반시설이 미비하고, 대로변에 그대로 승객들을 승·하차시키고 있어 출퇴근 시간대나 주말이면 이용객과 이 일대를 통행하는 차량들이 뒤엉켜 교통체증과 함께 시민들의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23일 대전시에 따르면 5월 현재 둔산정류소는 일평균 18개 노선에 255회의 시외·고속버스 이용, 4000여 명의 가까운 승객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는 대전지역의 12개 터미널·정류소를 비교 해봐도 일반 터미널에 버금가는 규모로, 하루에도 수십여대의 버스와 택시들이 주정차 위반이나 사고위험을 감수한 채 1개 차로를 점거, 승객들을 맞고 있다.
문제는 둔산 고속·시외버스정류소가 공공시설 점용허가를 받아 설치 된 임시허가물로, 도시계획 당시 별도의 터미널 부지가 있었지만 이를 활용하지 못한 채 없어졌다는 점이다.
당시 대전시는 시외버스정류장을 설치할 경우 교통체증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상이계획상 이전계획수용 및 동심 지대 통과 교통억제를 위한 자동차 정류장 폐지' 방침에 따라 공용청사 부지로 전환했다.
여기에 동일 행정기관에서의 각기 다른 해석도 시민들의 혼란과 불편을 부채질하고 있다.
실제 시 도로과 관계자는 "둔산정류소는 도로부지로 개인에게 허가를 낼 수 없는 곳이지만 공공의 목적상 점용허가를 낼 수 있다"며 "일정한 기간이 도래되면 관할 구청에 2~3년에 한 번씩 연장 허가 신청을 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임시허가물"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정류소는 일반 버스터미널에 버금가는 규모로 성장한 것이 사실이지만 교통체증의 원인이 된 만큼 폐쇄 조치하는 것이 맞다"고 덧붙였다.
반면 터미널 및 정류소를 담당하는 시 운송주차과 관계자는 "임시 정류소가 아닐 뿐더러 이용객들이 많은 만큼 둔산에서 꼭 필요한 시설"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주무 부서 간 입장 차이가 큰 가운데 시는 오는 2013년 들어설 대전·유성 복합터미널에 맞춰 둔산 정류소 폐지 계획을 구상 중이라고 밝혀 당분간 이 일대의 교통 혼잡은 해소되기 힘들 전망이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특히 이 정류소는 건립 당시 '임시'라는 조건부 형태로 설치됐기 때문에 별도의 주차장 및 승·하차장 등의 기반시설이 미비하고, 대로변에 그대로 승객들을 승·하차시키고 있어 출퇴근 시간대나 주말이면 이용객과 이 일대를 통행하는 차량들이 뒤엉켜 교통체증과 함께 시민들의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23일 대전시에 따르면 5월 현재 둔산정류소는 일평균 18개 노선에 255회의 시외·고속버스 이용, 4000여 명의 가까운 승객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는 대전지역의 12개 터미널·정류소를 비교 해봐도 일반 터미널에 버금가는 규모로, 하루에도 수십여대의 버스와 택시들이 주정차 위반이나 사고위험을 감수한 채 1개 차로를 점거, 승객들을 맞고 있다.
문제는 둔산 고속·시외버스정류소가 공공시설 점용허가를 받아 설치 된 임시허가물로, 도시계획 당시 별도의 터미널 부지가 있었지만 이를 활용하지 못한 채 없어졌다는 점이다.
당시 대전시는 시외버스정류장을 설치할 경우 교통체증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상이계획상 이전계획수용 및 동심 지대 통과 교통억제를 위한 자동차 정류장 폐지' 방침에 따라 공용청사 부지로 전환했다.
여기에 동일 행정기관에서의 각기 다른 해석도 시민들의 혼란과 불편을 부채질하고 있다.
실제 시 도로과 관계자는 "둔산정류소는 도로부지로 개인에게 허가를 낼 수 없는 곳이지만 공공의 목적상 점용허가를 낼 수 있다"며 "일정한 기간이 도래되면 관할 구청에 2~3년에 한 번씩 연장 허가 신청을 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임시허가물"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정류소는 일반 버스터미널에 버금가는 규모로 성장한 것이 사실이지만 교통체증의 원인이 된 만큼 폐쇄 조치하는 것이 맞다"고 덧붙였다.
반면 터미널 및 정류소를 담당하는 시 운송주차과 관계자는 "임시 정류소가 아닐 뿐더러 이용객들이 많은 만큼 둔산에서 꼭 필요한 시설"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주무 부서 간 입장 차이가 큰 가운데 시는 오는 2013년 들어설 대전·유성 복합터미널에 맞춰 둔산 정류소 폐지 계획을 구상 중이라고 밝혀 당분간 이 일대의 교통 혼잡은 해소되기 힘들 전망이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