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원인이 ‘북한의 소행’으로 민·군 합동조사단 조사결과 밝혀지면서 대북경계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높게 일고 있다. 여기에 정부의 위기능력대처 미흡에 대한 민심도 들끓고 있다.
○…송인섭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은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공격에 의한 소행으로 밝혀지면서 국내 전반에 걸친 투자심리 불안으로 대외 경제교류 관계가 위축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정부는 주변국과의 긴밀한 국제공조를 통해 단호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산업주체인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시 비상경제체제를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성욱 대전개발위원회 회장(금성백조 회장)은 “천안함 침몰사건은 고의적으로 교통사고를 내고 달아난 뺑소니 사건과 비슷하다. 우리가 북한에 당한 것이 한두번이 아닌 만큼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버릇을 고려야 한다”며 “국제사회와 공조를 통해 확실하게 사과를 받고 재발방지에 대한 약속을 받아내는 것은 물론 우리 국민들 모두도 그동안 느슨했던 안보의식을 공공히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예총대전시 한순중 사무처장은 “천안함 사태 부분은 우리가 북한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정부는 국방력으로 무력적인 보복을 가하는 것보다 냉정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우리나라 국방력을 더 강화하고 스스로의 자위권을 키워 북한 체제가 흔들림이 있을 정도의 외교력을 통합시켜야 한다. 또한 시민들에게 지속적인 안보교육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광표 대전·충남 재향군인회 안보부장은 "천안함 사태가 결국 북의 만행으로 밝혀진 가운데 이에 상응해 응징할 수 있는 충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며 "정부와 군을 상대로 의혹을 제기하고, 책임을 전가하려는 친북좌파세력들을 척결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군의 사기가 땅에 떨어진 만큼 군에 대한 전격적인 신뢰와 격려로 국가 방어태세에 힘을 보태 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20·30대 젊은층은 정부와 군의 이날 발표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직장인 이모(32) 씨는 "군 복무 시절 '전투에 진 지휘관을 용서할 수 있어도 경계에 실패한 지휘관은 용서할 수 없다'는 말을 가장 많이 들었다"며 "과연 적 잠수함의 침투는 물론 어뢰 공격조차 예측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침몰 당했다는 주장을 사실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또 다른 시민 성모(27) 씨도 "천안함 승무원들의 죽음이 안타깝고, 가슴 아프지만 정부의 일방적인 발표를 그대로 믿기에는 의심쩍은 사안이 너무 많다"며 "과연 정부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잠수함 몇 척만으로도 우리 해군은 전부 궤멸당할 수 있는 것인지 되묻고 싶다"고 말했다.
○…민주당 대전시당 등 야 5당과 종교, 시민사회단체도 20일 대전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천안함 사고 직후부터 레이더 영상과 열상관측장비 동영상 등 객관적인 증거가 될 핵심자료를 감추고 외부공격의 근거를 찾는 데만 집중했다”며 "지방선거를 앞두고 서둘러 발표한 것도 유권자들에게 안보불안 심리를 일으켜 젊은층의 투표율을 떨어뜨리고 보수층의 결집을 유도하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본사 종합>
○…송인섭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은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공격에 의한 소행으로 밝혀지면서 국내 전반에 걸친 투자심리 불안으로 대외 경제교류 관계가 위축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정부는 주변국과의 긴밀한 국제공조를 통해 단호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산업주체인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시 비상경제체제를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성욱 대전개발위원회 회장(금성백조 회장)은 “천안함 침몰사건은 고의적으로 교통사고를 내고 달아난 뺑소니 사건과 비슷하다. 우리가 북한에 당한 것이 한두번이 아닌 만큼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버릇을 고려야 한다”며 “국제사회와 공조를 통해 확실하게 사과를 받고 재발방지에 대한 약속을 받아내는 것은 물론 우리 국민들 모두도 그동안 느슨했던 안보의식을 공공히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예총대전시 한순중 사무처장은 “천안함 사태 부분은 우리가 북한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정부는 국방력으로 무력적인 보복을 가하는 것보다 냉정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우리나라 국방력을 더 강화하고 스스로의 자위권을 키워 북한 체제가 흔들림이 있을 정도의 외교력을 통합시켜야 한다. 또한 시민들에게 지속적인 안보교육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광표 대전·충남 재향군인회 안보부장은 "천안함 사태가 결국 북의 만행으로 밝혀진 가운데 이에 상응해 응징할 수 있는 충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며 "정부와 군을 상대로 의혹을 제기하고, 책임을 전가하려는 친북좌파세력들을 척결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군의 사기가 땅에 떨어진 만큼 군에 대한 전격적인 신뢰와 격려로 국가 방어태세에 힘을 보태 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20·30대 젊은층은 정부와 군의 이날 발표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직장인 이모(32) 씨는 "군 복무 시절 '전투에 진 지휘관을 용서할 수 있어도 경계에 실패한 지휘관은 용서할 수 없다'는 말을 가장 많이 들었다"며 "과연 적 잠수함의 침투는 물론 어뢰 공격조차 예측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침몰 당했다는 주장을 사실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또 다른 시민 성모(27) 씨도 "천안함 승무원들의 죽음이 안타깝고, 가슴 아프지만 정부의 일방적인 발표를 그대로 믿기에는 의심쩍은 사안이 너무 많다"며 "과연 정부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잠수함 몇 척만으로도 우리 해군은 전부 궤멸당할 수 있는 것인지 되묻고 싶다"고 말했다.
○…민주당 대전시당 등 야 5당과 종교, 시민사회단체도 20일 대전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천안함 사고 직후부터 레이더 영상과 열상관측장비 동영상 등 객관적인 증거가 될 핵심자료를 감추고 외부공격의 근거를 찾는 데만 집중했다”며 "지방선거를 앞두고 서둘러 발표한 것도 유권자들에게 안보불안 심리를 일으켜 젊은층의 투표율을 떨어뜨리고 보수층의 결집을 유도하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본사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