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내 대형마트 주변 도로가 불법 주·정차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불법주차 차량들로 교통체증은 물론 사고 위험까지 제기되면서 시민들의 민원이 빈발하고 있지만 관할구청과 해당업체는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상황이 심각한 곳 중 한 곳은 롯데마트 노은점으로 이곳 역시 늦은 밤까지 불법 주차가 끊이지 않는 지역이다. 특히 이 곳은 우회전 차량과 유턴 차량들이 많아 사고 위험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다는 것이 주민들의 얘기.
이곳을 자주 지나는 운전자 A씨는 “불법 주차 차량들로 인해 시야가 가려진다”면서 “갑자기 사람이나 차량이 튀어 나올지 몰라 가슴 조릴 때가 많다. 사람을 칠 뻔한 아찔한 경험도 있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 다른 운전자 B씨 역시 “마트 주변의 불법 주차 차량들을 보면 교통환경평가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의심스럽다”면서 “교통체증을 유발하는 업체에 대한 허가조건 강화 등 대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해당업체 및 관할구청도 어려움을 호소하기는 마찬가지다.
롯데마트 노은점 관계자는 “불법주차를 방지하기 위해 마트 주변 펜스에 안내문을 설치했고 안내방송도 하고 있다”면서 “오후 5시부터는 주차요원을 배치하고는 있지만 불법주차를 통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시민들의 의식 개선도 필요한 부분이다”고 말했다.
유성구청 관계자는 “불법주차 차량으로 민원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지만 단속에는 한계가 있다”면서 “무인단속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예산확보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고 말했다.
문제는 대전지역 대다수 대형유통업체 주변이 이 같은 불법주차로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점이다.
한 교통 전문가는 “도로를 만들 때엔 여러 가지 상황과 운행조건 등이 과학적으로 반영된다”면서 “불법주차가 성행하는 지역이라면 시야확보를 비롯한 안전운행에 여러가지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도로도 넓은데 괜찮겠지라는 짧은 생각이 생명을 앗아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대형유통업체 주변 불법 주차문제가 대두되면서 몇몇 해법도 나오고 있는 상태다.
대형유통업계에서는 “대형유통업체가 매년 부담하는 수억 원의 교통유발부담금을 주변 도로환경 개선 및 불법주차방지에 우선 투입한다면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이에 대해 대전시 교통정책과 관계자는 “(교통유발부담금은) 법적으로 쓸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개선이 시급한 우선순위를 정해 집행하고 있다”면서 “대형유통업체 주변의 경우 교통조건이 상대적으로 좋은 곳이 많아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경우가 많다. 우선순위 안에 든다면 예산투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항룡·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
불법주차 차량들로 교통체증은 물론 사고 위험까지 제기되면서 시민들의 민원이 빈발하고 있지만 관할구청과 해당업체는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상황이 심각한 곳 중 한 곳은 롯데마트 노은점으로 이곳 역시 늦은 밤까지 불법 주차가 끊이지 않는 지역이다. 특히 이 곳은 우회전 차량과 유턴 차량들이 많아 사고 위험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다는 것이 주민들의 얘기.
이곳을 자주 지나는 운전자 A씨는 “불법 주차 차량들로 인해 시야가 가려진다”면서 “갑자기 사람이나 차량이 튀어 나올지 몰라 가슴 조릴 때가 많다. 사람을 칠 뻔한 아찔한 경험도 있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 다른 운전자 B씨 역시 “마트 주변의 불법 주차 차량들을 보면 교통환경평가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의심스럽다”면서 “교통체증을 유발하는 업체에 대한 허가조건 강화 등 대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해당업체 및 관할구청도 어려움을 호소하기는 마찬가지다.
롯데마트 노은점 관계자는 “불법주차를 방지하기 위해 마트 주변 펜스에 안내문을 설치했고 안내방송도 하고 있다”면서 “오후 5시부터는 주차요원을 배치하고는 있지만 불법주차를 통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시민들의 의식 개선도 필요한 부분이다”고 말했다.
유성구청 관계자는 “불법주차 차량으로 민원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지만 단속에는 한계가 있다”면서 “무인단속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예산확보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고 말했다.
문제는 대전지역 대다수 대형유통업체 주변이 이 같은 불법주차로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점이다.
한 교통 전문가는 “도로를 만들 때엔 여러 가지 상황과 운행조건 등이 과학적으로 반영된다”면서 “불법주차가 성행하는 지역이라면 시야확보를 비롯한 안전운행에 여러가지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도로도 넓은데 괜찮겠지라는 짧은 생각이 생명을 앗아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대형유통업체 주변 불법 주차문제가 대두되면서 몇몇 해법도 나오고 있는 상태다.
대형유통업계에서는 “대형유통업체가 매년 부담하는 수억 원의 교통유발부담금을 주변 도로환경 개선 및 불법주차방지에 우선 투입한다면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이에 대해 대전시 교통정책과 관계자는 “(교통유발부담금은) 법적으로 쓸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개선이 시급한 우선순위를 정해 집행하고 있다”면서 “대형유통업체 주변의 경우 교통조건이 상대적으로 좋은 곳이 많아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경우가 많다. 우선순위 안에 든다면 예산투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항룡·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