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의 이자비용 지출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16일 통계청이 밝힌 1분기 가계동향 자료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이자비용은 작년 동기보다 12.3% 증가한 7만 3000원을 기록해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
이는 2005년 1분기(4만 7000원)보다 무려 55.3%나 증가한 것이다.
특히 이 같은 증가율을 가구당 소득이 2005년 286만 3000원에서 2010년 372만 9000원으로 28.2%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소득과 비교한 이자비용이 배에 가까운 증가를 나타낸 것이다. 가구당 이자비용을 2인 이상 전체 가구(1266만 6000가구, 농가 제외)로 환산하면 월평균 9246억 원이었고, 연간으로는 11조 95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에 반해 이자소득은 월평균 1만 3000원으로 전년 동기(1만 5000원)보다 13.3%가 줄었다.
연도별 1분기 이자소득은 2003년 1만 2000원, 2004년과 2005년 각각 1만 4000원, 2006년 1만 1000원, 2007년 1만 7000원, 2008년 1만 6000원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가계 예금과 대출이 모두 증가했지만, 금리 차이 때문에 이자소득은 줄고 이자비용은 증가했다”며 “기준금리인상 시 가계의 이자비용 부담은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
16일 통계청이 밝힌 1분기 가계동향 자료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이자비용은 작년 동기보다 12.3% 증가한 7만 3000원을 기록해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
이는 2005년 1분기(4만 7000원)보다 무려 55.3%나 증가한 것이다.
특히 이 같은 증가율을 가구당 소득이 2005년 286만 3000원에서 2010년 372만 9000원으로 28.2%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소득과 비교한 이자비용이 배에 가까운 증가를 나타낸 것이다. 가구당 이자비용을 2인 이상 전체 가구(1266만 6000가구, 농가 제외)로 환산하면 월평균 9246억 원이었고, 연간으로는 11조 95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에 반해 이자소득은 월평균 1만 3000원으로 전년 동기(1만 5000원)보다 13.3%가 줄었다.
연도별 1분기 이자소득은 2003년 1만 2000원, 2004년과 2005년 각각 1만 4000원, 2006년 1만 1000원, 2007년 1만 7000원, 2008년 1만 6000원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가계 예금과 대출이 모두 증가했지만, 금리 차이 때문에 이자소득은 줄고 이자비용은 증가했다”며 “기준금리인상 시 가계의 이자비용 부담은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