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2년 충남 홍성·예산으로 이전함에 따라 비게 될 현 충남도청사 활용 방안을 놓고, 문화체육관광부와 대전시의 입장 차이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대전시는 지난 2007년 당시 이명박 대통령 후보가 대선 공약으로 '충남도청을 활용한 국립박물관 조성 계획'을 발표한 만큼 '원안 또는 국립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문광부는 '대전시안에 타당성이 결여됐고, 기존의 국립현대미술관 등도 법인화 절차를 밟고 있는 만큼 또 하나의 국립시설은 절대 불가하다"고 주장, 양 기관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16일 문화체육관광부, 대전시 등에 따르면 시는 대통령의 대선 공약에 따라 충남도청사를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수립한 뒤 5억 원의 예산을 투입, '국립박물관 등 복합문화공간 조성 기초연구 용역'을 진행해 지난해 7월 용역 결과물을 문광부에 제출했다. 시의 용역(안)을 보면 기본적으로 등록문화재 제18호인 충남도청 본관 건물의 역사적·건축적 가치를 유지·발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기본 컨셉을 갖고, 프랑스 파리의 퐁피두센터를 모델로 한 복합문화공간 조성을 기본 계획으로 설정했다.

특히 대전 도심 한복판에 대지 2만 5456㎡, 건축면적 2376㎡, 연면적 4798㎡을 차지하는 충남도청이 등록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됐을 정도로 역사적 가치가 큰 만큼 첨단기술과 예술을 결합해 지역 경제 활성화의 유발점이자 원도심 활성화의 메카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점차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지역의 학계를 포함 시민·사회단체들도 "대전역에서 충남도청을 연결하는 중앙로는 지역을 상징했고, 대전 그 자체로 인식된다"면서 "충남도청이 새로운 도시의 이미지와 인구 유입을 위한 시설로 재탄생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대전시의 국립 근현대사 박물관 건립 계획은 정부의 서울 현대사 박물관 신축 계획에 따라 복합문화공간으로 변경됐고, 충남도청과 원도심 일대를 하나의 지구로 지정, 문화도시로 통합 개발하려는 안도 예산의 과다투입을 이유로 축소됐다.

또 문광부가 충남도청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기본 전제에는 동의하고 있지만 당초 약속했던 국립이 아닌 시립 또는 공립시설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있는 점도 사업 추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복합문화공간 조성 계획안은 유인촌 문광부장관이 언급한 퐁피두센터처럼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만들고, 이를 유통·소비할 수 있는 시설"이라며 "문화재의 적극적인 보존·활용과 도심재생의 역할·기능은 물론 정부의 신뢰성 확보라는 차원에서도 국립시설로 건립·운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광부 관계자는 "지난해 대전시가 제출한 용역(안)에 타당성이 없다고 판단, 현재 문화관광연구원이 충남도청 활용방안에 대한 용역을 진행하고 있고, 오는 7월경 최종 결과물이 나올 것 같다"며 "대통령이 공약으로 국립박물관 건립 계획을 제시했지만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고 다소 유보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이어 "국립을 고집하는 것 보다 상호 합의하에 효율성을 따져 결정해야 하고, 예산 등을 고려해 시간을 갖고, 천천히 장기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진환·이승동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