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엑스포 컨벤션복합센터 PF사업'이 사업주체들 간 '동상이몽' 속에 수년째 제자리 걸음을 걷고 있어 대전시의 적극적인 개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유성 도룡동 일대를 대전컨벤션센터와 특급호텔을 연계해 MICE산업의 중심지로 개발하기 위해 이 PF사업을 추진한 만큼 사업기간 재연장을 위한 사업주체 간 협의에 대전시 중재안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 사업은 유성구 도룡동 일대 국제전시구역 17만여㎡ 부지에 총 사업비 9396억 원을 투입, 지난해 말까지 주상복합단지와 컨벤션복합단지, 상업복합단지, 업무복합단지 등을 조성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2004년 6월 토지 소유권자인 LH공사는 PF사업 공모를 통해 대우건설, 삼부토건, 운암건설, 대전방송 등 모두 10개사를 대주주로 한 SPC(특수목적법인) ㈜스마트시티를 설립했다. 그러나 이 사업은 SPC설립 6년이 지난 현재까지 당초 계획대로 추진되지 못한 채 지난해 12월로 사업기간이 종료됐다.
이에 LH공사와 ㈜스마트시티 등 사업주체들은 사업기간 연장을 위한 협의 중에 있지만 좀처럼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시티 관계자는 "당초 우리가 계획한 대로 추진됐으면 벌써 호텔건립 등 모든 사업이 완료됐을 것"이라며 "2004년 당시 호텔 설립을 위한 건축설계까지 끝낸 상태에서 대전시가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랜드마크형 명품호텔로 해야 한다'고 고집을 부리면서 사업이 원점에서 맴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LH공사와 기간 연장을 위한 협의 중에 있지만 부지 매입 후 호텔 준공 보증, 이행 보증금 납부 등 무리한 요구를 강요하고 있어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며 "호텔사업이 대규모 적자가 예상되는 만큼 대전시가 이에 대한 적자 보전을 제시하는 한편 외국인 유치에 나서는 등 특단의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LH공사는 사업기간 연장을 위해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LH공사 관계자는 "PF사업 공모 지침에 따라 요구하는 최소한의 시설건립을 요구했고, 당초 계획한 사업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계약기간이 도래한 만큼 이행 보증을 위한 안전장치를 사업 시행자가 인정해야 기간 연장에 합의해줄 수 있다"며 "복합이라는 틀 안에는 '이윤이 나는 곳에서 적자가 예상되는 사업을 보전해 준다'는 개념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요구 사항은 들어줄 수 없다"고 못 박았다.
대전시는 LH공사와 SPC의 무책임한 사업 운영행태를 꼬집으며, 이들에게 적정수준에서 서로 양보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당시 사업 시행자는 PF공모에 따른 특급호텔이 아닌 비즈니스호텔로 전환, 건립하려고 했고, LH공사도 공공성을 외면한 채 자사 실리만 챙기려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면서 "향후 지역 MICE산업 발전을 위해 이들을 상대로 적절한 조율을 통해 사업 추진을 유도하겠다"고 설명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특히 유성 도룡동 일대를 대전컨벤션센터와 특급호텔을 연계해 MICE산업의 중심지로 개발하기 위해 이 PF사업을 추진한 만큼 사업기간 재연장을 위한 사업주체 간 협의에 대전시 중재안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 사업은 유성구 도룡동 일대 국제전시구역 17만여㎡ 부지에 총 사업비 9396억 원을 투입, 지난해 말까지 주상복합단지와 컨벤션복합단지, 상업복합단지, 업무복합단지 등을 조성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2004년 6월 토지 소유권자인 LH공사는 PF사업 공모를 통해 대우건설, 삼부토건, 운암건설, 대전방송 등 모두 10개사를 대주주로 한 SPC(특수목적법인) ㈜스마트시티를 설립했다. 그러나 이 사업은 SPC설립 6년이 지난 현재까지 당초 계획대로 추진되지 못한 채 지난해 12월로 사업기간이 종료됐다.
이에 LH공사와 ㈜스마트시티 등 사업주체들은 사업기간 연장을 위한 협의 중에 있지만 좀처럼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시티 관계자는 "당초 우리가 계획한 대로 추진됐으면 벌써 호텔건립 등 모든 사업이 완료됐을 것"이라며 "2004년 당시 호텔 설립을 위한 건축설계까지 끝낸 상태에서 대전시가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랜드마크형 명품호텔로 해야 한다'고 고집을 부리면서 사업이 원점에서 맴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LH공사와 기간 연장을 위한 협의 중에 있지만 부지 매입 후 호텔 준공 보증, 이행 보증금 납부 등 무리한 요구를 강요하고 있어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며 "호텔사업이 대규모 적자가 예상되는 만큼 대전시가 이에 대한 적자 보전을 제시하는 한편 외국인 유치에 나서는 등 특단의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LH공사는 사업기간 연장을 위해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LH공사 관계자는 "PF사업 공모 지침에 따라 요구하는 최소한의 시설건립을 요구했고, 당초 계획한 사업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계약기간이 도래한 만큼 이행 보증을 위한 안전장치를 사업 시행자가 인정해야 기간 연장에 합의해줄 수 있다"며 "복합이라는 틀 안에는 '이윤이 나는 곳에서 적자가 예상되는 사업을 보전해 준다'는 개념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요구 사항은 들어줄 수 없다"고 못 박았다.
대전시는 LH공사와 SPC의 무책임한 사업 운영행태를 꼬집으며, 이들에게 적정수준에서 서로 양보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당시 사업 시행자는 PF공모에 따른 특급호텔이 아닌 비즈니스호텔로 전환, 건립하려고 했고, LH공사도 공공성을 외면한 채 자사 실리만 챙기려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면서 "향후 지역 MICE산업 발전을 위해 이들을 상대로 적절한 조율을 통해 사업 추진을 유도하겠다"고 설명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