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아파트 전세난과 저금리 기조, 규제완화 등이 겹치면서 임대사업용 다가구주택 건축붐이 일고 있다.
특히 주차장 설치기준과 건축물 간 이격거리 등이 완화된 지난 3월부터 다가구주택 건축허가는 가히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12일 대전시에 따르면 다가구주택 주차장 설치기준이 종전 가구당 1대에서 전용 30㎡ 이하의 경우 0.5대(주차장조례 개정)로, 인동간격이 종전 건축물 높이의 1배에서 0.5배 이상(건축조례 개정)으로 완화된 이후 3월 한 달간 건축허가를 받은 다가구 물량은 1904가구(166동)로, 지난해 동월 건축허가분 167가구(33동)와 비교해 1140%나 급증했다.
이는 지난 한해 동안 건축허가를 받은 전체 다가구 물량(501동 4193가구)의 45%를 이미 넘어선 것으로, 규제완화라는 수혜에 힘입어 다가구 건축붐이 거세게 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 주택감리와 분양가상한제 배제 등 각종 혜택을 받으며, 지난해부터 새롭게 등장한 도시형 생활주택의 건축붐도 올 들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도시지역에 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을 받아 지어지는 20가구 이상 150가구 미만의 공동주택 개념인 도시형 생활주택은 단지형 다세대, 원룸형, 기숙사형 등으로 분류되며, 지난달 말 현재 7개 단지, 4495가구가 사업승인을 받았거나 이미 준공을 마쳤다.
이 가운데 현재 심의신청 중인 곳은 2개 단지, 196가구이며, 유성지역에만 2~3곳이 100가구 이상의 도시형 생활주택 건설사업을 검토 중인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다가구주택은 그 동안 주차공간 협소나 건물 노후 등으로 임대에 어려움을 겪어왔으나 올 들어 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월세 전환과 함께 전세난이 가중되면서 전셋집을 못구한 임차인들이 몰리고 있다.
여기에 저금리 기조 속에 건축업자들이 미분양 부담을 안고 가야하는 공동주택보다는 현재의 수혜를 최대한 활용, 다가구나 도시형 생활주택 등 임대사업쪽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시 관계자는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는데다 다가구 주택에 대한 주차장 설치기준 등이 완화되면서 건축 승인이나 허가 실적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며 “이른바 원룸촌을 중심으로 노후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보다는 재건축이 눈에 띄게 많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특히 주차장 설치기준과 건축물 간 이격거리 등이 완화된 지난 3월부터 다가구주택 건축허가는 가히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12일 대전시에 따르면 다가구주택 주차장 설치기준이 종전 가구당 1대에서 전용 30㎡ 이하의 경우 0.5대(주차장조례 개정)로, 인동간격이 종전 건축물 높이의 1배에서 0.5배 이상(건축조례 개정)으로 완화된 이후 3월 한 달간 건축허가를 받은 다가구 물량은 1904가구(166동)로, 지난해 동월 건축허가분 167가구(33동)와 비교해 1140%나 급증했다.
이는 지난 한해 동안 건축허가를 받은 전체 다가구 물량(501동 4193가구)의 45%를 이미 넘어선 것으로, 규제완화라는 수혜에 힘입어 다가구 건축붐이 거세게 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 주택감리와 분양가상한제 배제 등 각종 혜택을 받으며, 지난해부터 새롭게 등장한 도시형 생활주택의 건축붐도 올 들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도시지역에 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을 받아 지어지는 20가구 이상 150가구 미만의 공동주택 개념인 도시형 생활주택은 단지형 다세대, 원룸형, 기숙사형 등으로 분류되며, 지난달 말 현재 7개 단지, 4495가구가 사업승인을 받았거나 이미 준공을 마쳤다.
이 가운데 현재 심의신청 중인 곳은 2개 단지, 196가구이며, 유성지역에만 2~3곳이 100가구 이상의 도시형 생활주택 건설사업을 검토 중인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다가구주택은 그 동안 주차공간 협소나 건물 노후 등으로 임대에 어려움을 겪어왔으나 올 들어 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월세 전환과 함께 전세난이 가중되면서 전셋집을 못구한 임차인들이 몰리고 있다.
여기에 저금리 기조 속에 건축업자들이 미분양 부담을 안고 가야하는 공동주택보다는 현재의 수혜를 최대한 활용, 다가구나 도시형 생활주택 등 임대사업쪽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시 관계자는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는데다 다가구 주택에 대한 주차장 설치기준 등이 완화되면서 건축 승인이나 허가 실적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며 “이른바 원룸촌을 중심으로 노후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보다는 재건축이 눈에 띄게 많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