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6·2 지방선거 공약에서 불거진 충청지역 지방은행 설립 가능성을 두고 지역 금융계의 논의가 가열되고 있다.

지방은행은 시중은행이 갖지 않는 여러 의무사항을 통해 지역경제를 도우며, 현재 대전·충남에서는 하나은행이 일정부문 지방은행 역할을 맡고 있다.

일단 상당수 금융권 관계자들은 기초설립자금 1000억 원 대에 불과한 지방은행 설립에 회의적이다.

그러면서도 산업계와 정부 유관기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는 지방은행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지역의 모 중소기업 사장 A 씨는 “과거 충청은행이 있던 시기에 비해 지역 업체들이 대출받기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라며 “가까운 전북지역만 해도 지방은행이 지역 중소기업에 대출해주는 비율이 큰 것을 보면 우리 지역에도 지방은행이 있었으면 싶다”고 말했다.

익명의 금융권 관계자는 “시중은행에서 할 수 없는 사업을 지방은행이 맡아 해주는 것도 지역경제 활성화에는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겠지만 지방은행으로 인해 지역 경제가 살아난다면 좋은 일 아니냐”며 긍정의 뜻을 내비쳤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 반대의 의견도 만만치 않다.

모 은행 관계자는 "최근 시중은행들도 실적에 압박을 느끼는 상황에 무작정 설립부터 한다고 능사는 아니다"라며 "지방은행의 재무건전성을 높일 수 있는 산업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 역시 "지역 저축은행들과 힘을 모아 설립한다면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면서도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등으로 부실한 저축은행을 통해 지방은행을 설립한다면 결국 견고한 재무구조를 갖기 어려워 피해는 지역민들에게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