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지역의 고액 대출은 감소한 반면 서민 신용대출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지난 3월 지역 비은행기관 여신 규모는 새마을금고의 소액신용대출과 상호금융의 농업대출이 늘면서 전월대비 1200억 원 증가했다.
기관별로는 신협과 새마을금고 등 저신용등급자 소액신용대출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월보다 각각 239억 원, 503억 원 급증했다.
또 상호금융은 농번기를 앞두고 농업자금 대출이 크게 늘면서 전월보다 500억 원 이상 늘었다.
반면 상호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과 대형 PF(프로젝트 파이낸싱)대출 등 부동산 관련 대출은 증가 규모가 축소됐다.
이는 분양률 감소 및 신규 매매량 감소 등 부동산 침체 등으로 인해 고액 대출은 감소한 데 반해 정부의 지역 희망대출 사업 등으로 인한 중·소상공인들의 소액 대출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수신은 4963억 원 증가해 전월(2188억 원 증가)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주요 기관별로는 상호금융이 천안, 홍성, 당진 등 지역 토지보상자금 유입 등으로 3151억 원 늘었고, 신협과 새마을금고 역시 상대적 고금리와 비과세혜택에 따른 자금이 몰려 각각 1007억 원, 751억 원 늘어 증가폭을 키웠다. 신탁회사 역시 일부 공공기관의 자금예치 등으로 606억 원 늘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9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지난 3월 지역 비은행기관 여신 규모는 새마을금고의 소액신용대출과 상호금융의 농업대출이 늘면서 전월대비 1200억 원 증가했다.
기관별로는 신협과 새마을금고 등 저신용등급자 소액신용대출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월보다 각각 239억 원, 503억 원 급증했다.
또 상호금융은 농번기를 앞두고 농업자금 대출이 크게 늘면서 전월보다 500억 원 이상 늘었다.
반면 상호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과 대형 PF(프로젝트 파이낸싱)대출 등 부동산 관련 대출은 증가 규모가 축소됐다.
이는 분양률 감소 및 신규 매매량 감소 등 부동산 침체 등으로 인해 고액 대출은 감소한 데 반해 정부의 지역 희망대출 사업 등으로 인한 중·소상공인들의 소액 대출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수신은 4963억 원 증가해 전월(2188억 원 증가)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주요 기관별로는 상호금융이 천안, 홍성, 당진 등 지역 토지보상자금 유입 등으로 3151억 원 늘었고, 신협과 새마을금고 역시 상대적 고금리와 비과세혜택에 따른 자금이 몰려 각각 1007억 원, 751억 원 늘어 증가폭을 키웠다. 신탁회사 역시 일부 공공기관의 자금예치 등으로 606억 원 늘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