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자금난을 이기지 못해 최종부도처리 된 충북 청주의 대표적인 A 중견건설업체가 고의적으로 부도를 냈다는 의혹이 확산되고 있다.
검·경 등 사정기관들도 의혹에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정보수집이 끝나는대로 수사착수여부를 결정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져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6일 검·경과 지역 전문건설업계에 따르면 이 업체는 올 들어 자금난에 허덕이다 지난달 6일 농협 청주내덕동지점에서 돌아온 어음 7억 1492만 원을 막지 못해 결국 최종 부도처리되면서 업체를 둘러싼 각종 소문이 무성하다.
업체 대표가 사전에 부도를 앞두고 미리 직원들의 퇴직금을 정산하는 등 일부러 부도를 내기 위한 고의성이 다분해 조만간 검찰수사가 진행될 것이라는 소문이 전해지고 있다.
게다가 최근 100억 원대 정부의 4대강 사업 관련 공사를 수주한 뒤 30억~50억 원 정도의 선수금을 챙기는 등 재산을 은닉했다는 의혹도 일고 있다.
이와 함께 청주 사직동 주공아파트 재건축공사에 참여했던 이 건설업체의 하청업체들은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대의 공사대금을 받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이번 부도로 인한 피해자들은 도내에서 아스콘업체를 비롯해 장비를 공급했던 일반 장비업자들까지 포함하면 30여 명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거래은행의 어음과 각종 대형사업의 보증을 담당했던 전문건설공제조합의 피해를 합치면 피해액은 모두 150억 원 규모로 전해지면서 당분간 파장이 확산될 전망이다.
토목공사에 참여했던 업체 한 관계자는 “현재로선 무방비상태로 손을 쓸 수 없는 상황이며 고의 부도라면 어떻게 같은 지역에서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는지 답답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A 업체 대표는 “저가입찰로 인한 누적적자가 가장 큰 원인으로 만약 고의부도를 냈다면 해외로 도피했을 것”이라며 “부도 전 직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밀린 월급과 퇴직금을 정산했고, 4대강 사업 공사 관련 11억 원 정도의 선수금을 받은 것은 사실”이라고 해명했다.
고의부도 의혹이 확산되자 사정기관에서도 정보수집에 분주하다.
검찰 관계자는 “해당 업체의 부도 이후 업계 안팎에서 고의부도설이 나돌고 있어 사실여부를 파악 중”이라고 했고, 경찰 관계자도 “현재까지 진정 내지 고소·고발이 접수되지 않았지만 고의부도일 가능성을 놓고 모든 채널을 총동원해 정보수집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성진·박한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
검·경 등 사정기관들도 의혹에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정보수집이 끝나는대로 수사착수여부를 결정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져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6일 검·경과 지역 전문건설업계에 따르면 이 업체는 올 들어 자금난에 허덕이다 지난달 6일 농협 청주내덕동지점에서 돌아온 어음 7억 1492만 원을 막지 못해 결국 최종 부도처리되면서 업체를 둘러싼 각종 소문이 무성하다.
업체 대표가 사전에 부도를 앞두고 미리 직원들의 퇴직금을 정산하는 등 일부러 부도를 내기 위한 고의성이 다분해 조만간 검찰수사가 진행될 것이라는 소문이 전해지고 있다.
게다가 최근 100억 원대 정부의 4대강 사업 관련 공사를 수주한 뒤 30억~50억 원 정도의 선수금을 챙기는 등 재산을 은닉했다는 의혹도 일고 있다.
이와 함께 청주 사직동 주공아파트 재건축공사에 참여했던 이 건설업체의 하청업체들은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대의 공사대금을 받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이번 부도로 인한 피해자들은 도내에서 아스콘업체를 비롯해 장비를 공급했던 일반 장비업자들까지 포함하면 30여 명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거래은행의 어음과 각종 대형사업의 보증을 담당했던 전문건설공제조합의 피해를 합치면 피해액은 모두 150억 원 규모로 전해지면서 당분간 파장이 확산될 전망이다.
토목공사에 참여했던 업체 한 관계자는 “현재로선 무방비상태로 손을 쓸 수 없는 상황이며 고의 부도라면 어떻게 같은 지역에서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는지 답답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A 업체 대표는 “저가입찰로 인한 누적적자가 가장 큰 원인으로 만약 고의부도를 냈다면 해외로 도피했을 것”이라며 “부도 전 직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밀린 월급과 퇴직금을 정산했고, 4대강 사업 공사 관련 11억 원 정도의 선수금을 받은 것은 사실”이라고 해명했다.
고의부도 의혹이 확산되자 사정기관에서도 정보수집에 분주하다.
검찰 관계자는 “해당 업체의 부도 이후 업계 안팎에서 고의부도설이 나돌고 있어 사실여부를 파악 중”이라고 했고, 경찰 관계자도 “현재까지 진정 내지 고소·고발이 접수되지 않았지만 고의부도일 가능성을 놓고 모든 채널을 총동원해 정보수집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성진·박한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