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의 인구감소 및 고령화에 대비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도·농 교류를 보다 활성화 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 같은 지적은 충남발전연구원 도시·농촌교류 활성화 연구회가 6일 오후 3시 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충남의 도시-농산어촌 교류, 어디까지 와 있나’라는 주제로 개최한 워크숍에서 연구회장인 송두범 박사의 기조발제를 통해 대두됐다.
송 박사는 이날 발제를 통해 “충남은 수도권과 대전권에 인접해 접근성이 양호할 뿐 아니라, 다양하고 독특한 농촌체험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도·농 교류를 위한 우수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며 “그러나 지역의 특성에 맞는 도·농 교류 정책을 능동적으로 펼치지 못한다면 인구감소 및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충남 농어촌의 소득향상 및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송 박사는 또 “농림수산식품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도농교류 5개년 계획(2010~2014)’으로 그동안 개별적으로 추진돼오던 교류사업이 ‘도·농 상생’이라는 비전하에 통합됨에 따라 향후 질적 향상 및 체계적 관리를 위한 기반이 마련됐다”고 설명한 후 “효율적인 도·농 교류를 위해서는 거시적 안목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의 정책에 대응한 지역의 통합계획 수립 △지역의 독자적 특화 정책 마련 △공주시의 ‘5도2촌 주말도시팀’과 같은 도·농 교류 전담부서 설치 △우수 사례 벤치마킹 △평생교육원 등을 통한 도·농 교류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 개설 등을 제안했다.
송 박사는 또 충남도내 139개 농산어촌체험마을을 대상으로 운영실태를 점검한 결과, △미흡한 시설운영 △사계절 체험 프로그램 및 체험객 유치 노하우 부족 △고령화에 따른 운영인력의 부족 △생산·가공식품 판매 허가 취득의 어려움 등이 개선과제로 대두됐다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야 중앙정부의 정책에 대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충남도, 공주시, 청양군, 충남도농업기술원, 농협 충남지역본부 관계자 등 20여 명이 참석해 도·농 교류정책 사례발표 및 종합토론 등을 통해 도·농 교류 활성화 및 정책 활용에 대한 정보를 교환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이 같은 지적은 충남발전연구원 도시·농촌교류 활성화 연구회가 6일 오후 3시 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충남의 도시-농산어촌 교류, 어디까지 와 있나’라는 주제로 개최한 워크숍에서 연구회장인 송두범 박사의 기조발제를 통해 대두됐다.
송 박사는 이날 발제를 통해 “충남은 수도권과 대전권에 인접해 접근성이 양호할 뿐 아니라, 다양하고 독특한 농촌체험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도·농 교류를 위한 우수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며 “그러나 지역의 특성에 맞는 도·농 교류 정책을 능동적으로 펼치지 못한다면 인구감소 및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충남 농어촌의 소득향상 및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송 박사는 또 “농림수산식품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도농교류 5개년 계획(2010~2014)’으로 그동안 개별적으로 추진돼오던 교류사업이 ‘도·농 상생’이라는 비전하에 통합됨에 따라 향후 질적 향상 및 체계적 관리를 위한 기반이 마련됐다”고 설명한 후 “효율적인 도·농 교류를 위해서는 거시적 안목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의 정책에 대응한 지역의 통합계획 수립 △지역의 독자적 특화 정책 마련 △공주시의 ‘5도2촌 주말도시팀’과 같은 도·농 교류 전담부서 설치 △우수 사례 벤치마킹 △평생교육원 등을 통한 도·농 교류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 개설 등을 제안했다.
송 박사는 또 충남도내 139개 농산어촌체험마을을 대상으로 운영실태를 점검한 결과, △미흡한 시설운영 △사계절 체험 프로그램 및 체험객 유치 노하우 부족 △고령화에 따른 운영인력의 부족 △생산·가공식품 판매 허가 취득의 어려움 등이 개선과제로 대두됐다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야 중앙정부의 정책에 대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충남도, 공주시, 청양군, 충남도농업기술원, 농협 충남지역본부 관계자 등 20여 명이 참석해 도·농 교류정책 사례발표 및 종합토론 등을 통해 도·농 교류 활성화 및 정책 활용에 대한 정보를 교환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