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같은 놈들을 다 묻고 왔더니 심장 빠진 것 마냥 허전하네요.”
대전·충청권에 구제역 불안이 확산되면서 지역 축산농가의 피해가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게다가 구제역 공포에 논산과 홍성 등 지역 우시장마저 폐쇄되고, 우제류의 이동도 극도로 제한되면서 지역의 축산농가는 육류의 출하마저 더이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대전에서 한우를 80마리를 키우는 A(51) 씨는 “이번주에 수도권 우시장에 육우를 출하키로 했었는데 혹시라도 전염될까봐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축산농가들은 향후 수 개월동안 사실상 소득원이 끊기면서 생계에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충남 청양에서 애지중지 키우던 한우 30여 마리를 살처분 하라는 명령을 받은 B(52) 씨는 “자식같은 소들이 없어질 것을 생각하면 축사쪽을 바라볼 용기가 나지 않는다”며 참았던 눈물을 쏟아냈다.
300m 인근의 돼지농장이 구제역 판정을 받았다는 이유로 4일 자신의 한우 100여 마리를 살처분 한 C(50) 씨 역시 깊은 한숨으로 말을 잇지 못했다.
C 씨는 “이날 소 100마리 뿐만 아니라 보관하고 있던 사료와 자재까지 모조리 처리해야 했다”며 “이미 회생 불능의 타격을 입어 언제 회복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처럼 살처분 판정을 받는 축산농가들이 늘고 있지만, 이들은 정부의 눈치만 볼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C 씨는 “정부에서 살처분에 대해서는 시가보상을 해주고, 6개월분의 생활안정자금을 준다고 했으니 믿고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지만 불안감을 감추지는 못했다.
이처럼 지역 축산농가들이 구제역의 직접적인 피해에 노출되면서 충남도와 각 시·군 지자체들은 저마다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불안감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살처분 농가에 대해서는 살처분 당시의 한우가격으로 보상을 할 예정이고, 이에 더해 전국 농가 소득을 종합해 평균치로 6개월간 생계 안정 자금도 지급할 예정”이라며 “현재는 아무래도 확산을 막는 것이 우선이다 보니 보상 시기는 방역이 끝나는 대로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