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강수와 이상 저온이 계속되면서 대전·충남지역 농작물 냉해가 확산되고 있지만, 지역 농민들의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률이 낮아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특히 지난 보름동안 유래없는 꽃샘추위와 일조량 부족에 따라 지역 과수농가와 시설재배 농가들은 수확이 불가능할 정도의 피해를 입고도 형편없이 적은 정부 보상금에 의존해야 할 형편이다.

29일 지방자치단체 및 농협에 따르면 지역의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률은 충남이 17.7%, 대전은 8.6%에 불과하다.

이는 울산(36.2%), 전남(28.6%), 경북(25.9%) 등 타 시·도에 비해 턱 없이 낮은 수치다.

이처럼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률이 낮은 이유는 지난 수년간 이렇다할 자연재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농민들이 보험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올해 주된 피해 원인인 봄동상해(냉해)의 경우 농작물재해보험의 주보험이 아닌 특약사항으로 돼 있어, 보험에 가입한 농민들마저 보상을 받기가 어려울 전망이다.

유성배를 재배하는 A씨는 “이웃의 많은 농가들이 특약은 커녕 주보험료도 버거워하는 실정”이라며 “보험에 들었어도, 보험료가 부담돼 전체 재배면적 가운데 일부만 적용 지역으로 등록해 피해규모에 비해 보상은 턱 없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충남도 관계자는 “농작물보험에 가입할 경우 보험료의 70%를 국비와 자치단체에서 부담해주기 때문에 실제 농민 부담은 30% 수준”이라며 “그러나 우리 지역이 그동안 자연재해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적다보니 농민들의 보험에 대한 의식이 타 지역에 비해 낮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농민들은 특약 사항에는 보험료 지원이 없어 부담이 크기 때문에 가입을 결정하기 어려웠다고 볼멘 소리를 내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농민들이 보험 특약부분까지 지원을 요구하고 있지만 이는 자치단체에서 결정할 문제가 아니어서 어쩔 수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농협 관계자는 “지자체와 농협이 지난 2월부터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을 장려하는 홍보활동을 수차례 펼쳤지만 농민들의 호응은 미미한 상황”이라며 “앞으로 지자체와 협조하에 가입률을 크게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