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시간당 95kg 용량으로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한남대 쓰레기 소각장. | ||
대전시 대덕구 등에 따르면 한남대는 쓰레기 처리 비용 절감 차원에서 현재 교내 학생회관 동편에 시간당 95㎏ 용량의 소형 소각로를 설치해 실험실 등에서 배출되는 특수 폐기물과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품 등을 제외한 일부 혼합폐기물을 소각처리하고 있다.
이 시설은 지난 2003년 3월 처음 허가를 받고 운영되다가 2008년 신규시설 교체로 인해 잠시 폐쇄됐다가 같은해 9월 다시 승인을 받고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한남대가 자체 소각로를 운영하고 있는 것은 대전대와 목원대, 배재대, 우송대, 충남대 등 대전시내 다른 대학들이 최근 10여년 사이 자체 소각장을 모두 철거한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한남대를 제외한 대전지역 대학들은 과거 자체 소각시설을 운영했 지만 사회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설치·운영기준도 강화됐을 뿐만 아니라 다이옥신 등 화학물질 배출에 대한 우려 등으로 주변 민원 등에 따라 자체 철거했다.
![]() |
||
당시 소형 소각시설들 대부분은 대규모 전문 소각시설에 비해 대기오염물질 배출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설치가 미비했으며 관리가 허술하게 운영되는 등 2차 오염 유발에 대한 문제점에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었다.
![]() |
||
한남대 인근 아파트 주민 A(46·여) 씨는 “한남대 뒷편 야산에 조성된 산책로를 거의 매일 걷고 있는데 동쪽끝까지 걸어오면 쓰레기 소각장이 있어 조금 불쾌하다”며 “그럴이야 없겠지만 혹시 쓰레기를 태우면서 나쁜 물질이 나오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남대는 지난 2008년 11월 대덕구 등의 폐기물처리시설 점검에서 혼합폐기물 소각이 제대로 되지 않아 ‘강열감량 기준 초과(폐기물관리법 제31조)’로 과태료 200만 원의 행정처분을 받았다.
이에 대해 한남대 관계자는 “2008년 시설을 교체하면서 기능이 뛰어난 소각로로 교체했고 연 1회 구청과 시청, 환경청의 합동 시설 점검을 받고 있다”며 “다이옥신의 경우 아직 검사주기인 2년이 되지 않아 측정하진 않았지만 기준치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가능하면 분리수거를 철저히해 소각량을 최소화하고 있다. 큰 문제는 없지만 시대적 흐름에 따라 정책결정이 되는대로 조만간 소각장을 폐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