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전 서구 둔산동 한 아파트 단지 인근 경찰치안센터. 배치 인력이 부족해 수년째 텅 빈채 방치돼 있다. 조재근기자 jack333@cctoday.co.kr | ||
대전의 한 아파트 단지 인근에 위치한 경찰치안센터는 수년째 텅 비어 있다.
겉보기에 멀쩡한 건물인데도 오랜 기간 사용하지 않아서인지 썰렁하다 못해 을씨년스럽기까지했다.
또 건물 주차장은 이미 동네주차장이 된 지 오래다.
건물 내부에는 쓰다가 만 집기 등도 눈에 뗬고, 건물 뒤편은 담배꽁초나 담뱃갑, 먹다 버린 쓰레기들이 나뒹굴고 있었다.
길을 가던 한 주민은 "여기가 경찰서(치안센터)가 맞냐"고 반문한 뒤 "상주하는 경찰도 없고 해서 그냥 빈 건물인 줄 알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 지역은 아파트가 밀집해 있고 대로변이다 보니 상대적으로 어둡다"라며 "인근에 어린이집도 있어 경찰이 상주하는 치안센터 하나쯤은 필요할 것 같다"고 전했다.
이처럼 대전시내 상당수 치안센터가 경찰관 배치 없이 수년째 텅 빈 채 방치되고 있어 혈세만 낭비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특히 치안센터는 대부분 주택가나 상점 등이 밀집한 도심 중심지에 위치해 도시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야간 청소년들의 비행장소로 활용될 우려가 크다는 지적도 있다.
27일 대전지방경찰청에 따르면 현재 대전지역 전체 치안센터는 총 34곳으로, 이 가운데 삼천동, 둔산1동 등 12곳이 문을 닫은 상태다.
그나마 운영 중인 치안센터도 낮에는 경찰관 1명이 배치되고 야간은 관할 지구대에서 순환근무로 인원을 채우는 실정이다.
또 사용하지 않는 치안센터도 전기, 수도, 전화 등 관리비 명목으로 매달 16만 원 가량 지출되고 있다.
이같은 이유는 경찰 인력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경찰은 2003년 기존 파출소 2~3곳을 지구대로 통폐합해 조직을 개편한 뒤 사용되지 않는 파출소를 치안센터라는 이름으로 전환했다.
이후 경찰관 1명을 배치, 각종 민원서류 발급과 신고 접수 등 대민 봉사업무를 담당하도록 했다.
하지만 경찰은 인원과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상주 규정을 폐지, 이른바 '텅빈' 치안센터가 곳곳에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치안센터를 주민 복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매각하거나 동 자율방범대 등에게 무상제공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가 제기되면서 경찰도 다각적인 활용방법을 찾고 있지만, 치안센터가 국공유재산이라는 이유로 이렇다 할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협력단체 임대나 교통관련 초소 등 다양한 활용방안이 나왔지만, 치안센터가 국공유재산이기 때문에 타 용도로 활용하려면 유상임대를 해야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치안센터를 일반에 매각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으나 앞으로 치안수요가 생길 것을 대비하면 대안이 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