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아산 모 초등학교 학생들의 '자살종용 안티카페' 대상이 된 A 군은 개학이 됐어도 아직 학교를 나오지 않고 있다. 본보가 수소문한 결과, A 군은 다른 동네 또래들과 어울리며 학교 주변을 서성일뿐 아직 학교 문턱을 넘지 않고 있다. 지난 27일 천안에선 모 초등학교 5학년 여학생이 자신이 사는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두 사안은 공통점이 있다. 어린 초등학생들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는 사이 학교와 가정, 사회 모두 무슨 일이 진행되고 있는 지 몰랐다는 것이다. 사회 안전망을 찾지 못한 아이들은 모두 '그들만의 폭력'을 택했다. 편집자
#1. 충남의 모 초등학교 6학년인 B 군은 같은 반 학우들보다 한 살 많다.
지난해 피부병이 생겨 1년을 쉬었다. 때문에 같은 학년 학생들은 B 군을 "형, 오빠"라고 부르지만 나이차이 탓에 잘 어울리지 못했다. B 군은 등교해도 교실 한켠에서 잠을 자거나 여타 학생들을 괴롭히는등 학교 부적응 현상을 보였다. 다른 학생들도 B 군에 대한 집단 따돌림이 시작된 것도 그 무렵이다. 누가 먼저랄 것 없이 폭력과 욕설 등 감정대립이 격화되며 갈수록 교실 내 '생존경쟁'이 첨예화된 것.담임교사는 이 같은 교실 내 변화에 대해 "문제가 표면화될 때까지 전혀 몰랐다"고 말했다.
#2. 올해 대전의 한 중학교.
학생 30여 명이 2년 가까이 동급생들에게 수백만 원을 뺏기고 폭행까지 당하다 사회적 문제가 됐다. 2년 가까이 학교 내에서 수많은 학생들이 금품갈취와 폭력에 시달리고 있었지만 학교 측은 이를 알지도 못했다.학생들은 "선생님들한테 말해도 뾰족한 수도 없고 괜히 말했다가 나중에 보복당할까 무서워 섣불리 말도 못했다"고 말했다.배움의 전당인 학교가 그야말로 '지옥'으로 다가온 셈이다.
그들만의 '소리없는 전쟁'이 학교에서 벌어지고 있다.학교폭력과 따돌림 등은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세지만 이를 차단할 안전장치는 학교와 사회 모두 여전히 제대로 가동되지 않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각 시도교육청별 학교폭력 발생 및 조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전과 충남의 경우 지난 2004년 각각 171건과 202건의 학교폭력이 학내 문제로 대두돼 징계처분을 내렸다.
또 2005년에는 대전 174건, 충남 238건의 학교폭력이 신고되는등 증가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단순 수치상 대전·충남 전역에서 매일 1∼2건꼴로 학교폭력이 발생하고 있는 것. 교육당국의 학교내 폭력 근절대책이 제대로 효과를 발휘하지 않고 있음이다.
이 같은 수치는 학생선도위원회와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에 심의된 것으로, 학교내 신고되지 않은 것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상상을 초월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전문가들은 사안 발생시 적당히 덮으려는 관행화된 교육계의 분위기가 '불안한 학교'를 만들고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전교조 충남지부 이정희 사무처장은 "학교에서 폭력이나 따돌림등 문제가 발생하면 학교명예등 때문에 내부에서 쉬쉬할 때가 많다"며 "초기 대처 시기를 놓치다보니 되레 사안을 키울 때도 있다"고 말했다.
대부분 왕따와 학교폭력 등은 최악의 상황이 이를 때까지 학교측 등은 전혀 모른다는 것이다.
또 학부모 항의 등으로 뒤늦게 표면화되면 해당 학생들을 전학을 보내는 선에서 마무리 짖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학교폭력 근절대책도 실효성이 의문스럽긴 마찬가지다.학생들의 심리 치유를 담당할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는 대전·충남지역에서 손에 꼽는다.
대부분 학교폭력상담교육을 받아본 적도 없는 담임교사에게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고, 지역교육청에 설치된 전문상담교사제 역시 일선 학교의 폐쇄적 분위기상 이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학교폭력은 가해자와 피해자등 당사자는 물론 제3자 격인 여타 학생들에게도 악영향을 끼친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대전의 모 초등학교 교사는 "한두 명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부적응 현상을 보이면 같은 반 학생들도 정서적으로 매우 불안해한다"며 폭력의 전이현상을 지적했다.
이 같은 이유로 일선 교사들은 왕따 등 학교폭력 근절을 위해선 학교는 물론 가정 문제 역시 사회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시각을 내놓고 있다.
유순상 기자 ssyoo@cctoday.co.kr·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1. 충남의 모 초등학교 6학년인 B 군은 같은 반 학우들보다 한 살 많다.
지난해 피부병이 생겨 1년을 쉬었다. 때문에 같은 학년 학생들은 B 군을 "형, 오빠"라고 부르지만 나이차이 탓에 잘 어울리지 못했다. B 군은 등교해도 교실 한켠에서 잠을 자거나 여타 학생들을 괴롭히는등 학교 부적응 현상을 보였다. 다른 학생들도 B 군에 대한 집단 따돌림이 시작된 것도 그 무렵이다. 누가 먼저랄 것 없이 폭력과 욕설 등 감정대립이 격화되며 갈수록 교실 내 '생존경쟁'이 첨예화된 것.담임교사는 이 같은 교실 내 변화에 대해 "문제가 표면화될 때까지 전혀 몰랐다"고 말했다.
#2. 올해 대전의 한 중학교.
학생 30여 명이 2년 가까이 동급생들에게 수백만 원을 뺏기고 폭행까지 당하다 사회적 문제가 됐다. 2년 가까이 학교 내에서 수많은 학생들이 금품갈취와 폭력에 시달리고 있었지만 학교 측은 이를 알지도 못했다.학생들은 "선생님들한테 말해도 뾰족한 수도 없고 괜히 말했다가 나중에 보복당할까 무서워 섣불리 말도 못했다"고 말했다.배움의 전당인 학교가 그야말로 '지옥'으로 다가온 셈이다.
그들만의 '소리없는 전쟁'이 학교에서 벌어지고 있다.학교폭력과 따돌림 등은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세지만 이를 차단할 안전장치는 학교와 사회 모두 여전히 제대로 가동되지 않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각 시도교육청별 학교폭력 발생 및 조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전과 충남의 경우 지난 2004년 각각 171건과 202건의 학교폭력이 학내 문제로 대두돼 징계처분을 내렸다.
또 2005년에는 대전 174건, 충남 238건의 학교폭력이 신고되는등 증가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단순 수치상 대전·충남 전역에서 매일 1∼2건꼴로 학교폭력이 발생하고 있는 것. 교육당국의 학교내 폭력 근절대책이 제대로 효과를 발휘하지 않고 있음이다.
이 같은 수치는 학생선도위원회와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에 심의된 것으로, 학교내 신고되지 않은 것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상상을 초월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전문가들은 사안 발생시 적당히 덮으려는 관행화된 교육계의 분위기가 '불안한 학교'를 만들고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전교조 충남지부 이정희 사무처장은 "학교에서 폭력이나 따돌림등 문제가 발생하면 학교명예등 때문에 내부에서 쉬쉬할 때가 많다"며 "초기 대처 시기를 놓치다보니 되레 사안을 키울 때도 있다"고 말했다.
대부분 왕따와 학교폭력 등은 최악의 상황이 이를 때까지 학교측 등은 전혀 모른다는 것이다.
또 학부모 항의 등으로 뒤늦게 표면화되면 해당 학생들을 전학을 보내는 선에서 마무리 짖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학교폭력 근절대책도 실효성이 의문스럽긴 마찬가지다.학생들의 심리 치유를 담당할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는 대전·충남지역에서 손에 꼽는다.
대부분 학교폭력상담교육을 받아본 적도 없는 담임교사에게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고, 지역교육청에 설치된 전문상담교사제 역시 일선 학교의 폐쇄적 분위기상 이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학교폭력은 가해자와 피해자등 당사자는 물론 제3자 격인 여타 학생들에게도 악영향을 끼친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대전의 모 초등학교 교사는 "한두 명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부적응 현상을 보이면 같은 반 학생들도 정서적으로 매우 불안해한다"며 폭력의 전이현상을 지적했다.
이 같은 이유로 일선 교사들은 왕따 등 학교폭력 근절을 위해선 학교는 물론 가정 문제 역시 사회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시각을 내놓고 있다.
유순상 기자 ssyoo@cctoday.co.kr·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