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구제역 위기경보 단계를 사실상 최상위 수준인 ‘심각(Red)’으로 격상시켰다. 경기 강화·김포에 이어 내륙 교통의 중심지인 충북 충주시에서 구제역이 발병한 데 따른 조치다.

2004년 구제역 위기경보 제도가 도입된 후 사실상 심각 단계가 발령된 것은 처음이다. 지난 8일 강화에서 구제역이 발생한지 2주만에 내륙 깊숙한 곳까지 확산됨에 따라 방역 당국에도 비상이 걸렸다.

특히 충주에서는 구제역 바이러스 전파력이 소의 100~3000배에 이르는 돼지가 감염된 것으로 드러나 양축농가는 물론 충남도를 비롯한 가축 방역당국도 초비상이 걸린 상태.

게다가 충주 양돈농가에서 발견된 구제역 바이러스는 혈청형이 강화와 김포에서 발견된 것과 같은 것이어서 강화의 구제역이 방역망을 뚫고 남하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따라 지난 20일 보령에서 신고된 구제역 의심사례가 음성으로 나타나 한시름 놓는가 했던 충청 지역 축산농가와 지자체들은 그야말로 좌불안석이다. 이번 구제역은 확산 속도가 과거 어느 때보다 빠르고 피해도 크기 때문이다.

◆양축농가 초비상


전국 최대 규모의 축산단지인 홍성지역 축산농가들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이 같은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거래 위축 및 소비감소 등으로 축산농가는 물론 유통업계에 큰 타격을 가져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심성구 전국한우협회 홍성군지부장은 “지역 내 축산농가들이 초긴장 상태에 빠졌다”며 “방역 이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어 불안한 하루를 보내고 있다”고 농가의 분위기를 전했다.

박승구 대한양돈협회 홍성군지부장은 “한우나 젖소에 비해 구제역 전파속도가 최대 3000배까지 빠른 것으로 알려지면서 양돈농가들의 불안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라고 강조했다.

심원용 양돈사랑 대표는 “대부분의 축산농가들이 사료, 약품, 출하 등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외부와 일체 접촉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충남도 유입차단 총력

충남도는 22일 오후 도청 브리핑룸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구제역 도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종합 대책을 발표했다. 도는 예비비 10억 원을 긴급 투입해 소독약품 44t을 공급키로 하고, 도내 도축장 8곳에 가축방역관을 상주시켜 모든 출입자와 차량에 대한 소독을 강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지난 9일 강화 구제역 발생이후 도내 가축시장 8곳을 폐쇄한 데 이어 도내 유입을 막기 위한 통제초소를 확대 운영키로 했다.

지난 21일 경기도와 인접해 있는 당진의 송악·당진·삽교나들목, 홍성·광천나들목에 방역초소를 설치한 데 이어 이날 중으로 천안·아산·연기·청양 등에 11개의 방역초소를 추가 설치키로 했다. 이어 23일 오전까지 보령 7곳, 금산 2곳, 서산 2곳, 예산 3곳에 방역초소를 설치해 총 30개의 방역초소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강화·김포지역과 역학 관계(차량 이동 기록이 있는 농가)가 있는 도내 167개 농가에 대해 이동제한조치를 취하고, 소독·예찰활동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서용제 도 농림수산국장은 “구제역이 내륙으로 확산된 만큼 긴장의 끈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며 “도와 16개 시·군에서 방역대책 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는 등 구제역 차단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홍성=이권영 기자 gyl@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