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밀레니엄타운 조성사업이 민선4기에서도 해결되지 못한 '미제 과제물'로 남게 될 전망이다.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와 투자 유치 23조 원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 전문성을 보인 민선4기 정우택 지사 손에서도 결국 밀레니엄타운 사업은 숙제로 남게 될 것으로 보인다.

민선3·4기를 거쳐 10년 동안 시행착오만 반복했던 밀레니엄타운 사업이 민선5기에서는 해결 국면을 맞게 될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위해 충북도에서 충북개발공사로 이관된 밀레니엄타운 사업, 지난해 말 환경·시민단체와 주민, 대학 교수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에서 처음으로 합의안이 마련되면서 해결 조짐을 보였다.

합의안의 내용은 △유원지 기능과 공원 기능 복합 △청주광역권 신 성장 거점형성을 위한 주변지역 포함 △청정개발체계 구현 △주거중심의 획일적 택지개발 지양 △시행자인 충북개발공사의 자본금 유동화 지원 △민간사업자 공모를 통한 계획안 수용 등의 개발 기본원칙이 담겨있다.

충북개발공사는 지난해 12월 1일 협의체에서 도출된 개발방향을 바탕으로 충북도와 청주시 등과 밀레니엄타운 조성 상호협력 합약식을 가졌다.

협약에 따라 충북도와 청주시는 밀레니엄타운 해결방안을 공동 모색하고 개발 방향과 기본 구상 수립을 위한 행정적 지원을 추진키로 했다.

개발공사는 협약 후 지난 3월까지 협의체를 통해 개발기본구상과 개발지침을 수립한 뒤 국제수준의 민간 사업자를 공모,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사업이 해를 넘겼지만 아직까지도 사업구상만 논의될 뿐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못한 채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개발공사는 현재 협의체 몇 몇 교수들을 주축으로 개발기본구상안을 마련 중에 있으며 지방선거가 끝난 6월이 넘어서야 구체적인 개발방향이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협의체를 거쳐 각계 의견을 조합해 기본 합의안을 도출하는 데도 8개월 가까이 소요돼 선거 기간에 맞춰 기본구상안이 마련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또 개발공사 사장이 공금횡령으로 물러나고 일부 직원들이 도박으로 경찰에 적발되는 등 내부적 인적 쇄신이 요구되는 개발공사가 현 체제로 운영될 경우 밀레니엄타운 사업성과가 장담될 수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개발공사 관계자는 "오는 5월까지 연구를 거쳐 개발방향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선거가 맞물려 내용을 외부로 공개하기 어렵지만 선거가 끝난 뒤 내부적 조율을 거쳐 개발지침 등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박재원 기자 ppjjww7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