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말 대전시금고 선정이 예정된 가운데 각 은행들이 지방선거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2개 은행이 분할 담당하고 있는 대전시금고 체계가 이번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변화를 맞이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은행들은 각각 공성자와 수성자의 자리에서 저마나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는 것이 금융권의 전언이다.
대전시금고는 일반회계외 특별회계, 기금 등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하나은행이 연 예산 2조 원 대의 일반회계와 6000억 원 대의 특별회계를 담당하고 있고, 농협중앙회 대전지역본부는 연 4000억 원 규모의 기금을 운영하고 있다.
때문에 다른 시중은행들은 충남도를 비롯한 타 시·도가 주로 3개 은행으로 시금고를 구성하고 있는 점을 들어, 현재 2개 은행이 담당하는 대전시금고를 3개 은행이 담당하길 내심 바라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시조례의 개정 등 절차와 시간 소요가 만만치 않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일부 은행들이 조례를 통한 금고 운영 체계의 변화보다는 각 회계의 부분 항목을 분리·획득하려 한다는 소문도 공공연하게 돌고 있다.
이 경우 시 의회를 거치지 않고도 담당 공무원과 지자체장의 결정만으로 가능하다는 것.
실제 대전시금고 특별회계 가운데 상하수도 관련 한 개의 항목에 해당하는 예산만도 3000억 원에 달하고, 도로 등 다른 항목도 수 천억 원 상당이기 때문에 이들 알짜 항목 몇 개만 잡아도 금고 유치에 버금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때문에 대전시금고 수성자나 공성자 모두 이번 지방선거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밖에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이에 대해 지역의 금융권은 세금을 운영하는 시금고가 정치적으로 결정될 사항은 아니라고 반박하기도 했다.
모 은행 관계자는 “실제로 ‘모 은행은 00에게, 다른 은행은 00에게 붙었다.’는 루머가 돌기도 하지만 이는 뜬소문에 불과할 것”이라며 “정치적 위험을 무릅쓰고 선거 후보들과 물밑 접촉을 한다고 결과까지 기대하는 것은 억측”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최근 시금고 선정을 앞두고 일부 은행들이 지난 교육청금고와 충남도금고 선정 당시처럼 뻔히 보이는 선심성 사회활동을 늘이고 있다”며 “대전시금고는 진정으로 지역사회를 위해 활동하고 기여하는 은행이 맡는 것이 상호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