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설 행정동이나 교량 등 명칭을 놓고, 해당 지역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대전시는 지난달 31일 지역 전문가 9명으로 구성된 지명위원회를 열고, 유성구 탑립동~대덕구 와동을 잇는 신설교량 명칭을 '한빛대교'로 결정했다.
그러나 유성구 구즉동 일부 주민들과 10여 개 지역단체들은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 '테크노대교'라는 명칭이 다수의 찬성을 얻었는데도 이를 외면한 시의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집단 반발하고 있다. 구즉동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시는 교량을 건설할 당시부터 한빛대교라는 명칭을 염두에 두고 있었는데도 불필요한 설문조사를 왜 2차례나 실시했는지 모르겠다"며 "테크노밸리라는 상징성도 있고, 주민들이 원하고 있기 때문에 테크노대교로 명명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반면 시는 과학도시·꿈의도시·빛의도시라는 상징성을 담고 있는 한빛대교 명칭을 절대 변경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당분간 민·관 갈등은 계속될 전망이다.
또 행정동 명칭과 관련, 주민들의 요구를 자치구 의회에서 거절한 사례도 있다.
유성구의회 운영자치위원회는 14일 열린 164회 임시회에서 집행부가 제출한 구즉동에서 '관평테크노동'을 분동(分洞)하는 내용의 '유성구 행정기구 설치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을 투표에 부친 결과, 찬성 3표, 반대 2표로 원안을 가결시켰다.
이에 따라 구즉동에서 분리된 신설 행정동은 최초로 영어식 한글표기인 '테크노(Techno)'가 들어간 '관평테크노동'으로 확정됐으며, 오는 21일 열리는 임시회 본회의에서 가결되면 시행될 예정이다.
탑립동과 용산동, 관평동 등 3개 동을 관할하는 관평테크노동은 이곳에 최근 개발한 대전 테크노밸리 지역이 포함되면서 일대 아파트 입주민들 사이에서 '테크노'라는 명칭 사용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실제 유성구는 지난해 9월 주민여론조사 등을 거쳐 지난 2월 '테크노동'으로 의회에 승인을 요청했지만 구 의회는 "객관성과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이유 등으로 부결시켰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설문조사는 주민의견 수렴 차원에서 참고사항으로 이뤄진 것일 뿐 명칭 결정에 있어 큰 역할을 하는 사안은 아니었다"며 “최근에는 외래어로 표기된 지명도 한글로 바꾸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박진환 ·이승동 기자
대전시는 지난달 31일 지역 전문가 9명으로 구성된 지명위원회를 열고, 유성구 탑립동~대덕구 와동을 잇는 신설교량 명칭을 '한빛대교'로 결정했다.
그러나 유성구 구즉동 일부 주민들과 10여 개 지역단체들은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 '테크노대교'라는 명칭이 다수의 찬성을 얻었는데도 이를 외면한 시의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집단 반발하고 있다. 구즉동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시는 교량을 건설할 당시부터 한빛대교라는 명칭을 염두에 두고 있었는데도 불필요한 설문조사를 왜 2차례나 실시했는지 모르겠다"며 "테크노밸리라는 상징성도 있고, 주민들이 원하고 있기 때문에 테크노대교로 명명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반면 시는 과학도시·꿈의도시·빛의도시라는 상징성을 담고 있는 한빛대교 명칭을 절대 변경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당분간 민·관 갈등은 계속될 전망이다.
또 행정동 명칭과 관련, 주민들의 요구를 자치구 의회에서 거절한 사례도 있다.
유성구의회 운영자치위원회는 14일 열린 164회 임시회에서 집행부가 제출한 구즉동에서 '관평테크노동'을 분동(分洞)하는 내용의 '유성구 행정기구 설치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을 투표에 부친 결과, 찬성 3표, 반대 2표로 원안을 가결시켰다.
이에 따라 구즉동에서 분리된 신설 행정동은 최초로 영어식 한글표기인 '테크노(Techno)'가 들어간 '관평테크노동'으로 확정됐으며, 오는 21일 열리는 임시회 본회의에서 가결되면 시행될 예정이다.
탑립동과 용산동, 관평동 등 3개 동을 관할하는 관평테크노동은 이곳에 최근 개발한 대전 테크노밸리 지역이 포함되면서 일대 아파트 입주민들 사이에서 '테크노'라는 명칭 사용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실제 유성구는 지난해 9월 주민여론조사 등을 거쳐 지난 2월 '테크노동'으로 의회에 승인을 요청했지만 구 의회는 "객관성과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이유 등으로 부결시켰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설문조사는 주민의견 수렴 차원에서 참고사항으로 이뤄진 것일 뿐 명칭 결정에 있어 큰 역할을 하는 사안은 아니었다"며 “최근에는 외래어로 표기된 지명도 한글로 바꾸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박진환 ·이승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