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농촌총각과 외국여성이 결혼해 우리 나라에서 다문화가정을 꾸리기 시작한 지 20여 년.
20여 년이 지난 올해 들어서야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돼 제도권에서의 관심이 부여되기 시작했다.
다른 나라에서 우리 사회에 새롭게 편입한 결혼이민자 당사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이들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과연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아쉽게도 누구 하나 살피지 않았고 이 같은 무관심은 현재진행형이다.
학교는 제대로 다니는지, 군대는 갔는지, 취직은 했는지, 결혼을 준비하고 있는지에 대해 제도권은 관심을 갖지 않았다.
이처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해 제도권 교육에서 이탈하거나 아예 취학을 포기하는 아이들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행정기관과 교육기관은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향후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충남도의회 이정우 의원(청양1)은 26일 충남도교육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취학률을 알아보기 위해 다문화가정 자녀 현황(연령별)과 이들에 대한 취학현황 자료를 요구했지만 현실성이 떨어지는 자료만 제출받았다고 밝혔다.
충남도는 지난해 12월 파악한 자료를 제출했고 충남도교육청은 지난 4월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한 자료를 제시했다.
충남도가 파악한 도내 학령기 다문화가정 자녀는 1237명인 데 반해 교육청이 제시한 학생수는 1618명이다.
4~5개월의 조사시점 편차가 있지만 이 기간에 400여 명의 차이가 발생했다는 점을 선뜻 수긍할 수 없다는 게 이 의원의 판단이다.
이 의원은 이들의 미취학률에 대한 최근 자료를 요구했는데 도 교육청은 ‘천안 2명 미취학’이라는 답변을 들고 나왔고, 이 의원이 “제대로 파악된 자료냐”고 추궁하자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진 못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 의원은 “주변을 살펴보면 제도권 교육에 적응하지 못하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자주 접할 수 있다”며 “다문화가정 아이들이 학교에서 이탈하거나 가정 사정상 취학하지 못하는 사례를 보다 면밀히 조사해 현황을 제대로 구축하고 이들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다문화가정 지원단체 관계자는 “타 지역에선 이미 학교에 적응하지 못한 다문화가정 아이들이 스스로 갱단을 조직해 사회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정체성을 찾지 못해 결국 거리를 헤맬 수도 있다.
이들이 우리 사회에 보다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며 “미취학 아이들에 대한 기본적인 현황파악이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20여 년이 지난 올해 들어서야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돼 제도권에서의 관심이 부여되기 시작했다.
다른 나라에서 우리 사회에 새롭게 편입한 결혼이민자 당사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이들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과연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아쉽게도 누구 하나 살피지 않았고 이 같은 무관심은 현재진행형이다.
학교는 제대로 다니는지, 군대는 갔는지, 취직은 했는지, 결혼을 준비하고 있는지에 대해 제도권은 관심을 갖지 않았다.
이처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해 제도권 교육에서 이탈하거나 아예 취학을 포기하는 아이들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행정기관과 교육기관은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향후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충남도의회 이정우 의원(청양1)은 26일 충남도교육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취학률을 알아보기 위해 다문화가정 자녀 현황(연령별)과 이들에 대한 취학현황 자료를 요구했지만 현실성이 떨어지는 자료만 제출받았다고 밝혔다.
충남도는 지난해 12월 파악한 자료를 제출했고 충남도교육청은 지난 4월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한 자료를 제시했다.
충남도가 파악한 도내 학령기 다문화가정 자녀는 1237명인 데 반해 교육청이 제시한 학생수는 1618명이다.
4~5개월의 조사시점 편차가 있지만 이 기간에 400여 명의 차이가 발생했다는 점을 선뜻 수긍할 수 없다는 게 이 의원의 판단이다.
이 의원은 이들의 미취학률에 대한 최근 자료를 요구했는데 도 교육청은 ‘천안 2명 미취학’이라는 답변을 들고 나왔고, 이 의원이 “제대로 파악된 자료냐”고 추궁하자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진 못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 의원은 “주변을 살펴보면 제도권 교육에 적응하지 못하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자주 접할 수 있다”며 “다문화가정 아이들이 학교에서 이탈하거나 가정 사정상 취학하지 못하는 사례를 보다 면밀히 조사해 현황을 제대로 구축하고 이들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다문화가정 지원단체 관계자는 “타 지역에선 이미 학교에 적응하지 못한 다문화가정 아이들이 스스로 갱단을 조직해 사회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정체성을 찾지 못해 결국 거리를 헤맬 수도 있다.
이들이 우리 사회에 보다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며 “미취학 아이들에 대한 기본적인 현황파악이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