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시장이 침체를 보였던 지난해 제조업과 건설업, 숙박·음식업 등 내수 업종의 일자리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부 재정지출이 집중된 공공행정 부문과 사회복지 분야의 일자리는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2009년 국내 21개 업종의 취업자 수는 2008년에 비해 7만 2000명 감소했다. 이는 전년대비 14만 5000명이 증가했던 2008년과 비교되는 양상이다.업종별로는 제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전년 대비 일자리가 12만 6000명 줄었고 숙박 및 음식업도 10만 7000명이나 줄어 감소폭이 컸다. 건설업과 개인 서비스업 역시 각각 9만 1000명, 8만 6000명 줄었고, 금융 및 보험업도 5만 5000명이 감소해 지난해 고용시장의 침체를 반영하고 있다.

반면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부문의 취업자 수는 19만 2000명 늘었고,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도 15만 6000명 증가했다.

이 같은 일자리 수의 증감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불황을 겪으면서 내수 및 소비산업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 2월 기준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보다 14만 2000명 감소하는 등 얼어붙은 고용상황이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일자리에 대한 구직자 및 정부의 고민이 깊어질 전망이다.

2월 제조업 취업자는 전년 대비 17만 6000명 감소했고, 개인 서비스업과 숙박 및 음식업도 각각 7만 4000명, 6만 6000명 감소했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