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원군 공무원들이 연루된 각종 비리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공문서를 위조하거나 수 천만 원 상당의 뇌물을 받는 등 범행수법도 천태만상이다.
김재욱 전 청원군수 재임시절 청주·청원통합 문제는 물론 선거법 위반으로 군수직을 상실하자 공직사회가 극도로 혼란스러워 기강마져 크게 해이해졌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정부가 토착 및 공직사회 비리에 대한 강도 높은 척결작업을 벌이면서 이 같은 문제점이 속속드러나고 있다. 이로인해 성실히 일하는 대다수의 공무원들까지 품위손상을 입고 있다.
청주상당경찰서는 6일 농지전용허가 심사위원회를 개최한 것처럼 허위공문서를 작성한 청원군청 5급 공무원 장모(59) 씨 등 2명을 공문서위조 혐의 등으로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2008년 1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모두 43건의 농지전용허가 관련 회의록을 허위로 작성해 제출한 혐의다.
장 씨는 경찰에서 “농지전용허가업무의 편의를 위해 회의를 한 것처럼 회의록을 작성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달 8일에는 청원군 공무원 A 씨가 지난 2007년 골프연습장 건축과 관련해 행정편의를 봐달라며 B 씨가 제공한 수 천만 원 상당의 회원권을 받았다가 제3자뇌물취득 등의 혐의로 불구속 입건됐다.
또 2월에는 청원군청 공무원 3명이 자신이 관리·감독하는 공사 업자로부터 후원금 명목으로 200만 원을 받아 검찰에 불구속 기소됐고, 같은달 18일에는 마을 이장이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희망근로에 참여한 뒤 임금을 받아 챙긴 것을 알고도 가짜 공문서를 만들어 이를 도운 청원군 모 면사무소 직원이 허위공문서 작성 등의 혐의로 경찰에 적발됐다.
지난해 8월에도 마을공동사업 책임자가 건립 되지 않은 시설을 완공한 것처럼 속여 수 천만 원의 보조금을 챙긴 것을 알고도 이를 묵인한 청원군 공무원이 사기방조 혐의로 경찰에 불구속 입건되는 등 청원군 공무원들의 비리사건이 잇따르고 있다.
한 공무원은 “선거법 위반으로 직위를 상실한 김재욱 전 군수가 피소되면서부터 공직 내부가 상당히 혼란스러웠던 게 사실이다”며 “군수 직위상실 이후 잇따라 공무원들이 검찰이나 경찰에 의해 사법처리되면서 청원군이 마치 비리 백화점처럼 인식돼 주민들보기가 부끄럽다”고 말했다.
고형석 기자 kohs@cctoday.co.kr
공문서를 위조하거나 수 천만 원 상당의 뇌물을 받는 등 범행수법도 천태만상이다.
김재욱 전 청원군수 재임시절 청주·청원통합 문제는 물론 선거법 위반으로 군수직을 상실하자 공직사회가 극도로 혼란스러워 기강마져 크게 해이해졌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정부가 토착 및 공직사회 비리에 대한 강도 높은 척결작업을 벌이면서 이 같은 문제점이 속속드러나고 있다. 이로인해 성실히 일하는 대다수의 공무원들까지 품위손상을 입고 있다.
청주상당경찰서는 6일 농지전용허가 심사위원회를 개최한 것처럼 허위공문서를 작성한 청원군청 5급 공무원 장모(59) 씨 등 2명을 공문서위조 혐의 등으로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2008년 1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모두 43건의 농지전용허가 관련 회의록을 허위로 작성해 제출한 혐의다.
장 씨는 경찰에서 “농지전용허가업무의 편의를 위해 회의를 한 것처럼 회의록을 작성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달 8일에는 청원군 공무원 A 씨가 지난 2007년 골프연습장 건축과 관련해 행정편의를 봐달라며 B 씨가 제공한 수 천만 원 상당의 회원권을 받았다가 제3자뇌물취득 등의 혐의로 불구속 입건됐다.
또 2월에는 청원군청 공무원 3명이 자신이 관리·감독하는 공사 업자로부터 후원금 명목으로 200만 원을 받아 검찰에 불구속 기소됐고, 같은달 18일에는 마을 이장이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희망근로에 참여한 뒤 임금을 받아 챙긴 것을 알고도 가짜 공문서를 만들어 이를 도운 청원군 모 면사무소 직원이 허위공문서 작성 등의 혐의로 경찰에 적발됐다.
지난해 8월에도 마을공동사업 책임자가 건립 되지 않은 시설을 완공한 것처럼 속여 수 천만 원의 보조금을 챙긴 것을 알고도 이를 묵인한 청원군 공무원이 사기방조 혐의로 경찰에 불구속 입건되는 등 청원군 공무원들의 비리사건이 잇따르고 있다.
한 공무원은 “선거법 위반으로 직위를 상실한 김재욱 전 군수가 피소되면서부터 공직 내부가 상당히 혼란스러웠던 게 사실이다”며 “군수 직위상실 이후 잇따라 공무원들이 검찰이나 경찰에 의해 사법처리되면서 청원군이 마치 비리 백화점처럼 인식돼 주민들보기가 부끄럽다”고 말했다.
고형석 기자 koh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