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이 앞 다퉈 기관이나 행사의 홍보대사 자리를 유명 연예인들로 위촉하면서 이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연예인 홍보대사 상당수가 바쁜 일정을 이유로 본연의 임무에 소홀, 본래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볼멘소리가 위촉기관 내부에서조차 흘러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일부 지자체들은 행사 컨셉과 맞지 않는 연예인을 섭외, 홍보대사로 위촉하는 등 전형적인 전시행정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5일 대전시, 충남도 등에 따르면 올해 현재 대전·충남지역에서 지자체를 비롯해 대학 등의 홍보대사로 모두 10여 명의 연예인들이 활동하고 있지만 가시적인 효과는 크지 않다.

실제 충남도의 경우 지난해 열린 '안면도 국제꽃박람회'에 26명의 홍보대사를 위촉했지만 박람회 기간 중 행사장을 찾은 홍보대사는 6명에 불과했다.

대전시 역시 수년 전 탤런트 A 씨를 시 홍보대사로 위촉했지만 위촉식 이후 홍보활동은 전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대전에서 개최된 전국 행사 등에 홍보대사로 위촉됐던 B 씨 등 유명인들이 자체 스케줄을 이유로 홍보활동에 참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는 게 행사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또 대전의 모 대학의 경우 배우 C 씨를 홍보대사로 위촉했지만 "홍보활동이 어렵다"는 이유로 최근 스포츠스타 D 씨를 후임 홍보대사로 물색 중이다.

올해 '대충청방문의 해'를 맞아 전국을 무대로 홍보활동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대전시는 최근 탤런트 F 씨를 홍보대사로 위촉, TV광고와 각종 포스터촬영을 진행했지만 그 외에 활동은 F 씨의 바쁜 일정으로 시간 맞추기가 녹록지 않은 실정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충청방문의 해'의 홍보를 위해 유명 연예인 F씨와 1년 계약을 맺고, 활동료를 지불했지만 철저히 이들의 일정에 맞춰야 하기 때문에 홍보활동에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지자체 관계자도 "홍보활동 섭외를 하려고 해도 연예인들은 연락조차 힘들다"며 "위촉식 행사 후 한 번도 홍보활동에 참여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홍보대사에 따른 활동의지를 고려하지 않은 채 무조건 유명 연예인들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며 "연예인이 아니더라도 명분이 확실하면서 책임의식을 갖고 활동에 임할 수 있는 홍보대사를 위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은 "홍보대사 위촉 시 대가성이 없는 잘못된 관례로 기간을 명시하고, 홍보비 책정과 자문 등의 역할을 부여해 실질적으로 활동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