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기업 이전 투자협약이 잇따라 불발로 치닫을 것으로 전망돼 충북도를 비롯한 도내 자치단체의 기업유치 난맥상을 들어내고 있다.
오창 KT GDC(그룹데이터센터) 설립 백지화에 이어 2500억 원을 들여 충주기업도시에 공장 신설을 계획한 ㈜대웅제약이 세종시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웅제약 내부에서는 현 상황에서 충주기업도시 이전은 자금계획에 손실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아 사실상 포기, 국회에 제출된 세종시 수정안 통과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충북도와 충주시가 대규모 MOU만 체결해 놓고 투자계획에 대한 사후관리와 동향파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기업의 내부적 동요를 종용하지 못했다는 비난이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대웅제약 내부 직원들에 따르면 최근 이 회사 대표이사가 충주 공장신설 계획에 대해 세종시 이전 희망 의사를 전하며 수정안 국회 통과 여부를 지켜보겠다고 발언했다.
한 직원은 "대표이사가 직접 충주 이전의 어려움을 밝히며 세종시 이전 가능성을 시사했다"며 "법인세와 소득세 면제 조건이 원래대로 바뀌면 충주로 이전하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이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언했다"고 전했다.
대웅제약은 지난해 12월 2일 충북도·충주시와 수도권 공장을 충주기업도시로 이전하는 투자협약을 가졌다.
협약에 따라 대웅제약은 오는 2013년까지 2500억 원을 들여 16만5000㎡ 부지에 주력 공장을 이전, CGMP(의약품 품질관리 기준)를 충족하는 첨단 자동화 설비를 갖출 계획이다.
그러나 올해 조세특례제한법이 개정되면서 충주이전 계획이 전면 보류됐다.
대웅제약이 충주기업도시로 이전할 경우 받는 법인·소득세 3년 간 100% 면제와 이 후 2년 간 50% 감면 혜택이 법 개정으로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연 간 700억 원의 인센티브를 받지 못할 것으로 대웅제약은 내다봤다.
이 같은 조건 변동으로 대웅제약은 충주기업도시 이전을 전면 재검토하고 현 상황이 바뀌지 않을 경우 여건이 허락되면 세종시 쪽이나 다른 지역으로 이전을 염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액수로는 700억 원의 감면 혜택을 받지 못 한다"며 "현 상황에서는 자금계획 문제로 충주기업도시 신공장 이전은 보류상태"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충북도·청원군과 KT 간 맺은 2000억 원의 투자협약(MOU)도 최근 무산됐다.
KT는 충북 청원군 오창읍 양청리에 지하 4층, 지상 13층의 그룹데이터센터 신축을 계획했으나 실효성이 없다 판단, 수도권 기존시설을 재활용키로 결정했다.
충북도를 비롯한 도내 자치단체들이 각종 MOU 체결로 치적 쌓기에 열중할 동안 도내 이전을 계획한 기업들의 이탈 현상이 빚어져 투자 예정 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사후관리가 요구된다.
충북도 관계자는 "개정된 법안을 원위치 시키기 위해 정부에 수시로 건의하고 있다"며 "민주당 이시종 의원도 관련 법 개정을 추진 중에 있다"고 했다.
박재원 기자 ppjjww77@cctoday.co.kr
오창 KT GDC(그룹데이터센터) 설립 백지화에 이어 2500억 원을 들여 충주기업도시에 공장 신설을 계획한 ㈜대웅제약이 세종시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웅제약 내부에서는 현 상황에서 충주기업도시 이전은 자금계획에 손실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아 사실상 포기, 국회에 제출된 세종시 수정안 통과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충북도와 충주시가 대규모 MOU만 체결해 놓고 투자계획에 대한 사후관리와 동향파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기업의 내부적 동요를 종용하지 못했다는 비난이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대웅제약 내부 직원들에 따르면 최근 이 회사 대표이사가 충주 공장신설 계획에 대해 세종시 이전 희망 의사를 전하며 수정안 국회 통과 여부를 지켜보겠다고 발언했다.
한 직원은 "대표이사가 직접 충주 이전의 어려움을 밝히며 세종시 이전 가능성을 시사했다"며 "법인세와 소득세 면제 조건이 원래대로 바뀌면 충주로 이전하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이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언했다"고 전했다.
대웅제약은 지난해 12월 2일 충북도·충주시와 수도권 공장을 충주기업도시로 이전하는 투자협약을 가졌다.
협약에 따라 대웅제약은 오는 2013년까지 2500억 원을 들여 16만5000㎡ 부지에 주력 공장을 이전, CGMP(의약품 품질관리 기준)를 충족하는 첨단 자동화 설비를 갖출 계획이다.
그러나 올해 조세특례제한법이 개정되면서 충주이전 계획이 전면 보류됐다.
대웅제약이 충주기업도시로 이전할 경우 받는 법인·소득세 3년 간 100% 면제와 이 후 2년 간 50% 감면 혜택이 법 개정으로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연 간 700억 원의 인센티브를 받지 못할 것으로 대웅제약은 내다봤다.
이 같은 조건 변동으로 대웅제약은 충주기업도시 이전을 전면 재검토하고 현 상황이 바뀌지 않을 경우 여건이 허락되면 세종시 쪽이나 다른 지역으로 이전을 염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액수로는 700억 원의 감면 혜택을 받지 못 한다"며 "현 상황에서는 자금계획 문제로 충주기업도시 신공장 이전은 보류상태"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충북도·청원군과 KT 간 맺은 2000억 원의 투자협약(MOU)도 최근 무산됐다.
KT는 충북 청원군 오창읍 양청리에 지하 4층, 지상 13층의 그룹데이터센터 신축을 계획했으나 실효성이 없다 판단, 수도권 기존시설을 재활용키로 결정했다.
충북도를 비롯한 도내 자치단체들이 각종 MOU 체결로 치적 쌓기에 열중할 동안 도내 이전을 계획한 기업들의 이탈 현상이 빚어져 투자 예정 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사후관리가 요구된다.
충북도 관계자는 "개정된 법안을 원위치 시키기 위해 정부에 수시로 건의하고 있다"며 "민주당 이시종 의원도 관련 법 개정을 추진 중에 있다"고 했다.
박재원 기자 ppjjww7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