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건설공사 발주계획을 확정하면서 일감부족으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지역 건설업계에 대해선 고려치 않아 빈축을 사고 있다. 사업추진이 있을 때마다 해당자치단체와 지역업체 참여에 대해 구두약속을 하지만 현지 수급이 불가피한 레미콘 등 일부 자재만을 제외하곤 말 뿐이다.

5일 LH에 따르면 올해 확정한 전체 발주계획은 모두 1123건으로 이 가운데 충북지역은 모두 32건의 공사가 발주될 예정이다.

특히 청주성화2(택)B아파트 건설공사(755억 5300만 원)를 비롯해 청주탑동 주거환경개선사업 아파트 건설공사(580억 원), 증평송산(국민)A3아파트 건설공사(367억 9200만 원), 충주안림㈜1아파트 건설공사(329억 4900만 원), 청주율량2지구 주변도로 건설사업(201억 8300만 원) 등 대형 건설공사를 앞두고 있다.

하지만 대형 국책사업에 대해 LH가 전자입찰을 통해 최저입찰제 등으로 발주하면서 자격보유나 시공능력 미달을 이유로 지역업체들이 대형공사에 참여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충북도와 청주시가 각각 지역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 조례를 제정하는 등 지역 건설산업 지원에 발 벗고 나섰지만 LH가 이를 외면하면서 지역업체들의 경영난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실제 도는 지난 2006년 11월 조례를 통해 지역건설산업에 참여하는 대표사의 경우 지역중소건설업체와의 공동도급비율을 49% 이상 참여하는 등 지역건설산업체의 공동도급 비율과 하도급 비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권장했다.

시의 경우에도 지난 2007년 4월 다른 지역 건설업체가 지역건설사업에 참여하는 경우 지역건설산업체와의 공동도급비율을 49%까지, 하도급 비율을 70% 이상 높이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건설업체의 참여를 유도하는 권장 항목이다 보니 지자체가 제도적으로 권장하고 있지만 도내에서 이뤄지는 대형사업에서는 잇따라 지역업체들이 배제되면서 대책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분할발주나 지역의무공동도급비율 등 수주 물량에 허덕이고 있는 지역건설업체들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도를 비롯한 각 지자체는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협의회 등 관련부서 담당자들이 분기별 실적을 취합해 대책마련을 논의하고 있다”며 “정부 투자기업 등 공기업들이 발주하는 공사가 지역업체보다는 외지업체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면서 이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충북 전문건설업체 관계자는 “전문건설협회측이 LH충북본부를 방문해 지역업체 하도급 참여를 건의하는 등 시공사의 협조지원을 요청했다”며 “그러나 레미콘 등 현지수급이 불가피한 일부 자재와 미미한 공사를 제외하곤 대다수 대형건설업체의 협력업체가 공사를 하는 등 지역업체가 외면당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LH 관계자는 “지역업체들이 LH가 발주한 대형공사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은 외지 대형건설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공능력이나 기술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지역본부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비교적 적은 금액의 공사는 지역제한을 많이 두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