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는 충북경제자유구역(EEZ) 조기 지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도는 지난 2월 9일 이명박 대통령의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 지시에 따라 조기 기정을 목표로 막바지 준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5일 밝혔다.
도가 발주한 충북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변경 연구용역은 지난달 24일 최종 보고회를 거쳐 현재 마무리 단계에 있다.
이번 연구용역에는 지난해 8월 지정된 첨단의료복합단지를 비롯해 미국 유수의 협력병원과 학교, R&D기관, 항공기정비센터(MRO), 오송 메디컬 그린시티 등 신규여건을 최대한 반영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은 기존 경제자유구역에 비해 대부분의 산업기반 시설, 인프라 등이 갖춰져 있어 국가부담 최소화, 지정고시와 함께 외투기업 등의 즉시 입주가 가능해 성공모델 창출이 가장 기대되는 지역이다.
또 기존 경제자유구역의 문제점인 주택, 상가개발 등 지역개발 사업을 최소화하면서 경제자유구역 본래의 목적인 외국인 투자유치와 지구간 기능 연계에 의한 산업클러스터화에 중점을 두고 개발계획을 작성중이다.
도 관계자는 “신청 시기도 지식경제부 일정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정해 충북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을 공식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도는 지난 2월 9일 이명박 대통령의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 지시에 따라 조기 기정을 목표로 막바지 준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5일 밝혔다.
도가 발주한 충북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변경 연구용역은 지난달 24일 최종 보고회를 거쳐 현재 마무리 단계에 있다.
이번 연구용역에는 지난해 8월 지정된 첨단의료복합단지를 비롯해 미국 유수의 협력병원과 학교, R&D기관, 항공기정비센터(MRO), 오송 메디컬 그린시티 등 신규여건을 최대한 반영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은 기존 경제자유구역에 비해 대부분의 산업기반 시설, 인프라 등이 갖춰져 있어 국가부담 최소화, 지정고시와 함께 외투기업 등의 즉시 입주가 가능해 성공모델 창출이 가장 기대되는 지역이다.
또 기존 경제자유구역의 문제점인 주택, 상가개발 등 지역개발 사업을 최소화하면서 경제자유구역 본래의 목적인 외국인 투자유치와 지구간 기능 연계에 의한 산업클러스터화에 중점을 두고 개발계획을 작성중이다.
도 관계자는 “신청 시기도 지식경제부 일정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정해 충북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을 공식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