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한남대 학보 회수’사건이 김형태 총장 등 학교 수뇌부가 직접 개입해 이뤄졌다는 주장이 제기돼 파장이 일고 있다.

(본보 3월 31일자 1면 보도)

31일 한남대 학보사 출신 동문 등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배포됐다가 26일 돌연 회수된 한남대신문 제934호는 일부 기사내용을 이유로 학교 최고위층에서 회수조치 했다는 주장이다. 또 이 과정에서 총장이 직접 학생 기자들을 불러 신문폐간을 운운하며 압력을 행사했다는 주장도 함께 제기됐다.

한남대는 지난달 25일 한남대신문 제934호 8000부 가량을 학내에 배포했다가 다음날 4000부 가량을 회수해 그 이유와 배경에 대해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현재 한남대신문은 학생 기자들이 기획 및 취재, 편집 등 제작 전과정을 맡고 있지만 총장이 임명한 주간교수가 제작 과정을 총괄하고 최종 인쇄 직전 기사 취사선택 및 면 배치를 조율하고 있다.

따라서 주간교수와의 조율과정을 무리없이 통과하고 최종 인쇄 및 배포까지 마친 신문이 돌연 회수됐다는 점은 이 과정에서 주간교수 보다 상부(?)의 의중이 작용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대학신문사는 직제상 학생 자치기구가 아니라 총장 부속기관으로 돼 있어 주간교수의 바로 윗선은 총장을 의미한다.

이 대학 학보사 출신 동문 A 씨는 “최근 학교를 방문했다가 신문 회수 얘기를 듣고 어이가 없었다. 현 총장은 한남대 동문인 동시에 학보사 출신이어서 기대가 컸는데 오히려 실망이 더 크다”며 “총장이 학생들에게 신문 정간이나 폐간을 운운했다는 말도 있는데 만약 사실이라면 정말 걱정하지 않을 수 없고 묵과할 수 없는 일”이라고 분개했다.

이와 관련해 대전·충남민주언론연합 이기동 사무국장은 “최근 들어 대학들이 학보를 학교 홍보지로 전락시키려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가 아닌가 생각된다”며 “대학언론이라도 언론은 누구의 소유가 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기사를 문제 삼아 배포된 신문을 회수한다는 것은 언론의 표현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한남대 규정집 신문사 규정(4-4-1) 제2장 중립과 독립의 원칙 제5조에는 “본사는 자유와 독립을 생명으로 하는 언론 본연의 사명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취재와 편집 및 운영에 있어서 엄정중립과 독립의 원칙을 고수한다”라고 돼 있다.

학보사 동문들의 주장처럼 총장이 회수에 개입했거나 압력을 행사했다면 이러한 규정에 명시된 중립과 독립의 원칙에 배치되는 일이다.

이에 대해 한남대 관계자는 “학보 회수에 대해 오늘 알았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을 알지 못한다. 책임자인 주간교수에게 물어보라”고 말했다.

반면, 주간교수는 “학보 회수는 없었다. 그것밖에 할 말이 없다”며 또다시 학보 회수 이유에 대한 답변을 피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