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갑천변과 보문산, 서대전, 대전산업단지, 월평, 유성 일원 등 12개 권역이 '경관중점관리구역'으로 지정, 특별 관리될 전망이다.
이들 권역은 건물의 조망성 확보, 형태·배치·높이 등 경관요소별 설계지침에 따라 경관심의위원회의 심의 및 자문, 경관시뮬레이션에 기초한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모든 건축물 인·허가 절차에 반영된다.
대전시는 1일 '2020 대전시 경관계획(안)' 시민공청회를 시작으로 의견청취, 경관위원회 심의, 최종 보고회 등을 거쳐 올 하반기까지 '시 경관계획'을 수립키로 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날 시는 △갑천 △월평 △유성 △서대전 △신탄진 △대전산업단지 △대전IC △우암사적 △보문산 △원도심 △구릉지 △수변 등 12개 권역을 경관중점관리구역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또 △대전 원도심과 둔산 등을 포함한 도심 △도안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서남 △대덕R&D특구 등 대덕 △계룡산과 계족산 등 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 등 4개 경관권역을 경관기본관리구역으로 지정, 기본계획에 반영키로 했다.
시 관계자는 "지난 2007년 5월 경관법의 제정 및 시행에 따라 '시 경관계획' 수립이 필요해졌다"며 "지역 전체 경관의 보전·형성·관리를 위한 중장기 계획으로 대전을 명품도시로 조성하기 위한 첫 발"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경관계획안이 시행에 들어가더라도 경관설계지침과 자가 점검 리스트 등 가이드라인을 제시, 해당 사업자들은 도시계획조례와 건축조례 등의 기본적인 규제와 새로운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는 시민공청회와 시의회 의견 청취, 경관위원회 심의와 최종보고회 등의 절차를 끝으로 올 하반기까지 '2020 대전 경관계획(안)'을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이들 권역은 건물의 조망성 확보, 형태·배치·높이 등 경관요소별 설계지침에 따라 경관심의위원회의 심의 및 자문, 경관시뮬레이션에 기초한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모든 건축물 인·허가 절차에 반영된다.
대전시는 1일 '2020 대전시 경관계획(안)' 시민공청회를 시작으로 의견청취, 경관위원회 심의, 최종 보고회 등을 거쳐 올 하반기까지 '시 경관계획'을 수립키로 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날 시는 △갑천 △월평 △유성 △서대전 △신탄진 △대전산업단지 △대전IC △우암사적 △보문산 △원도심 △구릉지 △수변 등 12개 권역을 경관중점관리구역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또 △대전 원도심과 둔산 등을 포함한 도심 △도안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서남 △대덕R&D특구 등 대덕 △계룡산과 계족산 등 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 등 4개 경관권역을 경관기본관리구역으로 지정, 기본계획에 반영키로 했다.
시 관계자는 "지난 2007년 5월 경관법의 제정 및 시행에 따라 '시 경관계획' 수립이 필요해졌다"며 "지역 전체 경관의 보전·형성·관리를 위한 중장기 계획으로 대전을 명품도시로 조성하기 위한 첫 발"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경관계획안이 시행에 들어가더라도 경관설계지침과 자가 점검 리스트 등 가이드라인을 제시, 해당 사업자들은 도시계획조례와 건축조례 등의 기본적인 규제와 새로운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는 시민공청회와 시의회 의견 청취, 경관위원회 심의와 최종보고회 등의 절차를 끝으로 올 하반기까지 '2020 대전 경관계획(안)'을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