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의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전시와 유성구의 경우 연간 수백억 원(국비 포함)의 예산을 편성해 전통시장 시설 및 경영 현대화사업 등 하드웨어적인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정작 시내·시외버스 노선개편을 통한 이용객 증대 등 실질적인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다는 지적이다.

29일 대전시, 유성구, 전통시장상인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유성시장상인회 및 유성구민들은 현재 유성시장을 관통하고 있는 유성시외버스터미널 진·출입 노선을 유성IC 등 외부로 변경해줄 것으로 요청했다.

유성시장상인회는 또 충대정문~유성네거리 등 대로변에 위치한 대부분의 시내버스 정차장을 유성시장 내부로 이입, 시장을 방문하는 시민들의 이용편의를 증진해 줄 것을 건의한 상태다.

이들은 "유성시외버스터미널을 이용하는 대형 시외버스들이 유성시장을 관통하면서 출퇴근 시간을 물론 평상시에도 교통체증이 심하다"며 "시설현대화 등에 수십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기 보다는 버스노선 개편 등 돈이 들지 않더라도 실질적인 도움을 줬으면 한다"고 건의했다.

실제 3월 현재 유성시외버스터미널을 이용하고 있는 운송업체는 모두 10여 개로, 일평균 300~400회의 운행횟수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성시외터미널을 중심으로 유성시장 등 좁은 도로에 수백 대의 대형버스들이 통행하면서 평일에도 심한 교통정체 현상을 보이고 있어 시장상인들은 물론 지역민들로부터 원성을 사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와 운송업체들은 행정적 절차 및 비용 문제 등을 이유로 이들의 요구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운송업체 관계자는 "업체 입장에서도 교통체증이 많은 곳은 피하고 싶지만 노선 개편 후 실 운행거리가 늘어날 경우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며 "요금인상이 현 상황에서 어려운 만큼 노선개편 작업은 현실적으로 힘들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유성구 관계자는 "시외버스 노선 개편은 충남도, 시내버스 노선은 대전시 등이 관할 기관으로 이 사안을 이들 기관에 통보, 협조 요청하겠지만 쉽지 않은 문제"라고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시 관계자도 "시내·시외버스 노선 개편 문제는 시장상인회 의견도 중요하지만 승하차장 이전에 따른 업체·주민들의 의견도 수렴해야 하는 등 변수들이 많다"며 즉답을 피했다.

한편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대전시는 모두 930억 원(국비 60% 포함)의 예산을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에 투입했으며, 올해에도 모두 160억 원(국비 포함)의 예산을 편성, 관내 전통시장에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박진환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