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 25일 충북혁신도시 사업으로 이주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충북 진천군 덕산면 두촌리 마을 한 주민이 평생 생활했던 자신의 집을 쓸쓸히 바라보고 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 ||
지난 25일 오후 1시 충북 진천군 덕산면 두촌리 일대는 봄기운을 시샘하는 동장군의 기세가 한껏 기승을 부리며 칼바람이 매섭게 불어 닥쳐 삭막한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켰다.
마을 곳곳에는 아직 철거되지 않은 가옥과 뿌리 째 뽑힌 거목들이 뒤엉켜 폐허를 방불케 했고, 터파기 작업을 하다 만 곳에는 웅덩이가 깊게 패여 마치 폭격을 맞은 전쟁터와 흡사했다.
충북혁신도시는 지난 2007년 3월 혁신도시 특별법에 의한 예정지구를 지정, 5월 개발계획 승인을 거쳐 10월에는 용지보상에 착수했다.
692만 5000㎡ 면적의 충북혁신도시 부지는 이달 말 현재 가옥 60%, 공장 62%, 분묘 90% 등의 지장물 이전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이곳 4공구 조성공사는 지난해 11월 착공에 들어갔지만 아직도 10가구가 이주할 곳을 찾지 못한 채 황량한 벌판에 덩그러니 놓여있어 쓸쓸함을 더하게 했다.
중장비들이 인근에서 터 다지기 작업을 하고 있어 각종 소음으로 방안에 앉아 있기가 불안하다던 김봉운(73) 할머니는 “이사 갈 곳에 터를 장만하긴 했지만 하수도와 정화조 시설을 아직 갖추지 못해 집을 못 짓고 있는 상태로 대부분이 이사를 가서 사람 구경을 할 수도 없는데다 밤에는 무서워서 잠을 설칠 지경”이라며 “이 도시개발이 누구를 위한 사업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 마을은 철거작업에서 발생되는 고철을 수집하기 위해 고물상들이 닥치는 대로 고철을 수거해가는 바람에 김 할머니처럼 이사를 가지 못한 주민들이 집을 비우지 못하고 항시 불안에 떨고 있다.
총 사업비 1조 3503억 원을 들여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시행하고 있는 충북혁신도시 사업이 타 혁신도시에 비해 지지부진한 이유는 이전 기관들이 충북행 결정을 확정짓지 못하고 있는데다 수년간 주민들의 보상에 대한 반발, 지장물 철거와 분묘 관련 주민들 간 갈등이 주요 원인이다.
게다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세종시 수정안 문제와 겹치면서 충북혁신도시로 이전하려던 기업이나 연구소 등도 세종시의 세제혜택에 갈등을 겪고 있다는 것.
실제 충북혁신도시에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과 한국가스안전공사 등 12개 기관 중 8개가 이전승인을 마쳤지만 1곳은 폐지, 2곳은 타 혁신도시 이전 대상기관과 통합되면서 자족형 도시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지도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LH 충북혁신도시사업단 관계자는 “다른 혁신도시보다 공장 등 지장물이 산재해 있는데다 주민생계조합을 시행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늦어지고 있는 것”이라며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시행의지를 갖고 있고 지자체도 잔여 지장물 이전을 촉구하고 있어 하반기부터 공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으로, 공공기관 이전 문제는 국토부 승인 결정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