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원활치 못한 흐름과 예금금리 인하로 유치 자금마저 감소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의 일부 저축은행들이 금융감독원의 암행감찰까지 예고되면서 내우외환이 가중되고 있다.
이는 최근 저축은행들이 순조롭지 못한 자금사정을 후순위채 발행으로 극복하려는 가운데 진행되는 것이어서 지역 저축은행들이 어떻게 돌파구를 마련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4일 지역 금융권에 따르면 대전·충청지역의 일부 저축은행들은 기존 부동산 PF의 자금 회수가 원활치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최근들어 예금금리가 급격히 하락하며 시중은행과의 경쟁에서 이렇다할 우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어 자금사정에 다소 곤란을 겪고 있다.
모 저축은행 관계자는 “최근 들어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일부 저축은행들은 적정 예대율 유지를 위해 소액 대출에까지 목을 메는 상황”이라며 “일각에서는 그동안 대출을 하지 않았던 유흥업소를 대상으로 돈장사도 마다하지 않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일부 저축은행들이 자본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후순위채 발행을 계획하고 있지만, 이는 다시 후에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최근 금감원은 고금리로 판매되는 후순위채권의 불완전 판매와 이로 인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 암행 감찰을 계획 중이다.
금감원은 직원이 직접 고객처럼 저축은행을 방문해 판매과정을 모니터링하고 고지의무 준수 여부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암행감찰이 이뤄진다고 해도 이미 문제가 발생했거나 의혹이 일고 있는 은행에 제한될 것”이라며 “아마도 대형 저축은행들에 집중되지 않겠냐”고 전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대전·충청지역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하는 암행감찰은 구체적으로 계획된바 없지만, 일단 후순위채를 발행하는 모든 저축은행은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이는 최근 저축은행들이 순조롭지 못한 자금사정을 후순위채 발행으로 극복하려는 가운데 진행되는 것이어서 지역 저축은행들이 어떻게 돌파구를 마련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4일 지역 금융권에 따르면 대전·충청지역의 일부 저축은행들은 기존 부동산 PF의 자금 회수가 원활치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최근들어 예금금리가 급격히 하락하며 시중은행과의 경쟁에서 이렇다할 우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어 자금사정에 다소 곤란을 겪고 있다.
모 저축은행 관계자는 “최근 들어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일부 저축은행들은 적정 예대율 유지를 위해 소액 대출에까지 목을 메는 상황”이라며 “일각에서는 그동안 대출을 하지 않았던 유흥업소를 대상으로 돈장사도 마다하지 않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일부 저축은행들이 자본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후순위채 발행을 계획하고 있지만, 이는 다시 후에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최근 금감원은 고금리로 판매되는 후순위채권의 불완전 판매와 이로 인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 암행 감찰을 계획 중이다.
금감원은 직원이 직접 고객처럼 저축은행을 방문해 판매과정을 모니터링하고 고지의무 준수 여부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암행감찰이 이뤄진다고 해도 이미 문제가 발생했거나 의혹이 일고 있는 은행에 제한될 것”이라며 “아마도 대형 저축은행들에 집중되지 않겠냐”고 전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대전·충청지역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하는 암행감찰은 구체적으로 계획된바 없지만, 일단 후순위채를 발행하는 모든 저축은행은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