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전 대덕구 신대동 일대에 때 아닌 개발광풍이 불면서 우량의 농지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사진 우측에 경부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가 만나는 회덕분기점이 있고, 좌측으로는 갑천고속화도로와 경부고속철도가 지나고 있다. 우희철 기자 photo291@cctoday.co.kr | ||
해당 지자체의 무관심과 허술한 제도를 틈타 합법이라는 미명 하에 양질의 농업용지가 사라지고, 주변 환경도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대덕구 신대동 일대에 최근 외지인들이 대규모 농지를 매입, 성토(盛土)하는 사례가 늘면서 인근 하우스 농가들이 직·간접적인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이 일대는 대부분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농업이 아닌 타 용도의 개발행위가 불가능하지만 인근 대덕구 연축동 100만㎡ 부지에 행정타운, 상업시설 등 복합단지가 조성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때 아닌 개발붐이 일고 있다.
이들은 주말이면 팀을 꾸려 인근 농업용지의 추가 매입에 열을 올리고 있으며, 농지 매입 후 대부분 논에서 밭으로 형질변경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들이 땅을 매입, 용도 변경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개발됐던 지하수(관정)이나 농업용 비닐 등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것들을 흙으로 메우고 있다는 점이다.
24일 본보 취재진이 현장을 직접 찾아 확인한 결과, 하우스 농가들 사이사이로 약 1.8m 높이의 흙더미가 농지 곳곳에 쌓여 있었고, 이곳에는 부서진 콘크리트, PVC비닐 등 각종 건설·생활폐기물들이 섞여 있있다.
수년째 농사를 짓고 있는 C 씨는 "최근 외지인들이 계속해서 농지를 매입한 뒤 기존에 있던 농민들을 내쫓고 있다. 각종 폐기물이 섞인 흙을 곳곳에 쌓이면서 환기 문제 등으로 인근 하우스 농가에서 피해를 호소하고 있지만 해당 지자체는 감감무소식이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이어 "이 일대는 토질이 비옥한 우량농지(농업진흥지역)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기존에 있던 지하수 관정이 정식적인 폐공절차 없이 땅에 묻히면서 환경오염 등 또 다른 피해가 걱정된다"고 덧붙였다.
인근의 또 다른 농민도 "지난해 그린벨트 내 형질변경이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바뀌면서 이 같은 사례가 늘고 있다"며 "우수 농지라 해도 농업을 모르는 도시인들이 땅을 매입, 사용할 경우 농지훼손 등 각종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부동산 관련 전문가는 "최근 신대동 일대를 매입하려는 외지인들이 늘면서 땅값도 3.3㎡당 두배가량 치솟았다"며 "절대농지 제도가 농업진흥지역 등으로 제도개편이 이뤄지면서 논을 밭으로 형질변경하거나 훼손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대덕구 관계자는 "이 지역 농가에서 민원이 제기돼 성토 높이를 하향 조정할 것과 농지 인접선 경계와 배수로 설치 등을 시정 명령했다"며 "주민들의 피해가 접수된 만큼 다시 현장을 방문, 검토 후 행정조치 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환·이승동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