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가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역량강화지원사업 지원대상 대학으로 연이어 선정됐으나 전국 지방 거점대학 중 최하위 수준으로 대안 마련이 요구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2008년부터 전국의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교육역량강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지역발전과 연계된 지방대학의 특성화와 지역인력양성 활성화를 위해 지방대학 교육여건을 수도권 대학과 나란히 경쟁할 수 있도록 개선하기 위해 실시해 온 이 사업은 각 대학의 교육과정 개편, 교육·실습활동 지원, 교육여건 개선 등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의 지방거점대학으로 선정된 충북대는 지난 2008년 9억9200만 원, 지난해 47억6700만 원을 각각 지원받았으며, 올해 또다시 45억3900만 원을 지원받게 됐다.

이처럼 충북대는 3년 내내 지원대상으로 선정됐으나 지방거점대학 가운데 교육역량강화사업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대학 중 매년 최하위 수준을 보이고 있음에도 발전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아 온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충북대는 지난 2008년 전국의 지방거점대학에서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6개 대학 중 최하위를 차지했으며 지난해와 올해에는 8개 대학교 중 7위를 기록, 최하위권을 맴돌았다.

교과부가 지원대상 대학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교육지표 포뮬러에는 취업률, 재학생 충원률, 국제화 등 성과지표와 전임교원 확보율, 학사관리·교육과정운영, 1인당 교육비, 장학금지급률, 등록금 인산수준 등 여건지표를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으나 충북대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확보하지 않고 있다.

더욱이 다른 지원대상 선정대학의 이러한 자료를 확보, 비교평가함으로써 대학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야 함에도 다른 대학의 자료도 보유하지 않고 있어 개선·발전을 위한 노력을 하자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충북대 관계자는 "취업률에 대한 자료는 마련돼 있으나 외국인 학생 졸업자 수나 외국인 교수 채용 등 국제화 부문, 교수 1인당 학생 수와 20인 이하의 소규모 강의 개설 수 그리고 전임교원 강의 담당비율 등 학사관리·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자료는 분석·평가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 대학 출신인 서모(30·여) 씨는 "이러한 순위를 차지한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며 "다음해에는 더 나은 성적을 거둘 수 있도록 철저한 원인분석을 하는 등 노력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