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계 투자사로의 매각이 불발로 그쳐 자칫 표류위기에 놓일 뻔했던 청주하나로저축은행이 중앙회의 인수추진으로 경영정상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중앙회가 구조개선적립금으로 하나로저축은행을 인수함으로써 수년간 되풀이돼온 부실경영이 해소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 여론은 희망적이다.
전 대주주들의 전횡으로 빚어진 부실 피해의 해소를 위해 공적자금이 투입된다는 점에선 부정적 시각도 적잖다.
2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중앙회는 최근 한신저축은행과 컨소시엄을 구성, 하나로은행 청주본점 등 5곳에 대한 인수작업을 추진 중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하나로저축은행에 대한 최종 인수여부와 인수시 투자규모는 확실하게 결정된 바 없으나 인수할 의사는 분명히 있다"고 밝혔다.
이번 컨소시엄에 대해 중앙회는 구조개선적립금으로는 1100억 원대의 하나로은행 인수자금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판단, 한신저축은행과 컨소시엄을 구성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구조개선적립금은 저축은행 업계가 부실 가능성이 있는 저축은행의 인수와 증자를 통한 경영정상화 목적으로 사용하려 적립한 기금이다.
중앙회가 금융당국의 인수허가를 받아 경영정상화에 나설 경우 적기 시정조치 대상으로 분류된 하나로은행은 저축은행법에 따라 지역구 외 지점 설치가 허용되는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어 조기 정상화가 가능하다는 '장밋빛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공적자금이 투입된다는 점에서 하나로은행에 대한 부정적 시각도 많다. 4차례나 대주주가 바뀐 하나로은행은 대주주가 은행을 사(私)금고로 악용한 게 결국 부실운영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줬다.
하나로은행은 지난 1972년 충북서울무진㈜으로 설립돼 1973년 서울상호신용금고로 상호를 변경했다. 이후 2000년 6월 청주상호신용금고와 합병, 2002년 지금의 하나로상호저축은행으로 상호를 바꿨다.
하나로은행의 전신인 동양상호신용금고의 주주인 이만석(사망) 씨는 부인이 운영하던 병원 경영이 어려워지자 불법대출을 해줬다.
이후 덕일건설 정홍희 대표가 하나로은행을 인수했지만 2002년 10월 주택건설촉진법 위반 혐의로 구속기소돼 징역 2년6월에 벌금 15억 원을 선고받았다.
2006년 9월 2대주주였던 송영휘 씨도 타인명의로 1000억 원대의 불법대출을 받은 혐의로 서울지검에 구속됐다. 당시 570여억 원이 은행에서 갑자기 빠져 나가면서 은행 신뢰도에 큰 타격을 입었다.
차종철 회장이 지난 2007년 2월 하나로 은행을 인수했지만 전 대주주의 불법대출로 인한 손실 때문에 최근까지 경영에 어려움을 겪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불법대출, 동일인 한도초과 대출, 적자배당 및 고배당 강행 등 과거 대주주 사금고화에 따른 각종 파행운영이 하나로은행의 부실로 이어진 셈이다. 불·편법운영으로 인한 부실 여파의 피해를 중앙회의 공적자금투입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하나로은행에 대한 지역민들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지역의 한 금융계 인사는 "전 대주주들의 사금고역할을 해 온 하나로은행에 공적자금이 투입된다는 것은 결국 선량한 예금주들의 몫인 각종 혜택이 줄어들게 되는 결과"라면서 "과거 하나로은행의 무책임한 부실운영에 대한 책임을 누구에게 물어야 할 것인지 모르겠다. 책임론의 연장선상에서 생각해볼 때 인적쇄신 등의 '패널티'를 부여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성진·이정현 기자seongjin98@cctoday.co.kr
중앙회가 구조개선적립금으로 하나로저축은행을 인수함으로써 수년간 되풀이돼온 부실경영이 해소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 여론은 희망적이다.
전 대주주들의 전횡으로 빚어진 부실 피해의 해소를 위해 공적자금이 투입된다는 점에선 부정적 시각도 적잖다.
2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중앙회는 최근 한신저축은행과 컨소시엄을 구성, 하나로은행 청주본점 등 5곳에 대한 인수작업을 추진 중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하나로저축은행에 대한 최종 인수여부와 인수시 투자규모는 확실하게 결정된 바 없으나 인수할 의사는 분명히 있다"고 밝혔다.
이번 컨소시엄에 대해 중앙회는 구조개선적립금으로는 1100억 원대의 하나로은행 인수자금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판단, 한신저축은행과 컨소시엄을 구성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구조개선적립금은 저축은행 업계가 부실 가능성이 있는 저축은행의 인수와 증자를 통한 경영정상화 목적으로 사용하려 적립한 기금이다.
중앙회가 금융당국의 인수허가를 받아 경영정상화에 나설 경우 적기 시정조치 대상으로 분류된 하나로은행은 저축은행법에 따라 지역구 외 지점 설치가 허용되는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어 조기 정상화가 가능하다는 '장밋빛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공적자금이 투입된다는 점에서 하나로은행에 대한 부정적 시각도 많다. 4차례나 대주주가 바뀐 하나로은행은 대주주가 은행을 사(私)금고로 악용한 게 결국 부실운영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줬다.
하나로은행은 지난 1972년 충북서울무진㈜으로 설립돼 1973년 서울상호신용금고로 상호를 변경했다. 이후 2000년 6월 청주상호신용금고와 합병, 2002년 지금의 하나로상호저축은행으로 상호를 바꿨다.
하나로은행의 전신인 동양상호신용금고의 주주인 이만석(사망) 씨는 부인이 운영하던 병원 경영이 어려워지자 불법대출을 해줬다.
이후 덕일건설 정홍희 대표가 하나로은행을 인수했지만 2002년 10월 주택건설촉진법 위반 혐의로 구속기소돼 징역 2년6월에 벌금 15억 원을 선고받았다.
2006년 9월 2대주주였던 송영휘 씨도 타인명의로 1000억 원대의 불법대출을 받은 혐의로 서울지검에 구속됐다. 당시 570여억 원이 은행에서 갑자기 빠져 나가면서 은행 신뢰도에 큰 타격을 입었다.
차종철 회장이 지난 2007년 2월 하나로 은행을 인수했지만 전 대주주의 불법대출로 인한 손실 때문에 최근까지 경영에 어려움을 겪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불법대출, 동일인 한도초과 대출, 적자배당 및 고배당 강행 등 과거 대주주 사금고화에 따른 각종 파행운영이 하나로은행의 부실로 이어진 셈이다. 불·편법운영으로 인한 부실 여파의 피해를 중앙회의 공적자금투입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하나로은행에 대한 지역민들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지역의 한 금융계 인사는 "전 대주주들의 사금고역할을 해 온 하나로은행에 공적자금이 투입된다는 것은 결국 선량한 예금주들의 몫인 각종 혜택이 줄어들게 되는 결과"라면서 "과거 하나로은행의 무책임한 부실운영에 대한 책임을 누구에게 물어야 할 것인지 모르겠다. 책임론의 연장선상에서 생각해볼 때 인적쇄신 등의 '패널티'를 부여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성진·이정현 기자seongjin9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