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공직사회에서 “밤새 안녕하셨어요”란 말은 결코 가볍게 넘길 인사가 아니다. 자고 나면 터지는 것이 토착비리 사건이기 때문이다.

수의계약 청탁명목으로 뇌물을 수수한 수도사업소 공무원, 장기 방치된 미준공 건축물에 증축허가를 내주겠다는 명목으로 뇌물을 받은 건축사, 익사사고 발생 관련 보도 무마 대가로 금품을 갈취한 기자까지 그 내용도 다양하다.

충남지방경찰청은 올 들어 21건의 토착비리를 수사, 167명을 검거해 10명을 구속했다.

하루에 충남에서만 2.2명이 검거되고 있는 셈이다.

18일 충남지방청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토착비리로 검거된 피의자 가운데 공무원이 120여 명으로 가장 많으며, 그 외 기초의회의원, 농촌지도사, 건축사, 기자 등이 검거됐다.

공무원 가운데에는 7급 56명, 6급 28명, 8급 14명, 9급 5명, 5급 5명, 4급 1명 등으로 실무 담당자가 토착비리에 가장 많이 연루된 것으로 확인됐다.

토착비리의 내용은 뇌물수수가 7건 134명으로 가장 많고, 직무유기 2건 9명, 횡령 1건 4명, 갈취기자 6건 10명, 기타 4건 9명 등으로 나타났다. 매일같이 터지고 있는 토착비리 사건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충남지방청은 지금까지 해온 수사의 1.5배에 달하는 34건의 수사를 현재 진행하고 있다.

34건의 방대한 수사가 진행되면서 수사 대상에 오른 관공서는 불안한 일상을 보내고 있다.

수의계약 장부 일체를 압수당한 모 기관 관계자는 “특별히 잘못한 것은 없지만 꼬투리라도 잡힐까 걱정스럽고, 토착비리 사건이 매일같이 터지면서 공무원 사회는 급속히 위축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지방경찰청 역시 골프 접대 향응을 제공받은 교육청 공무원을 검거하는 등 활발한 토착비리 수사를 벌이고 있지만 토착비리 특별단속(6월 30일까지) 기간 중이라 자료를 제공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유창림 기자 yoo772001@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