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내 취약계층에게 소득을 보장하는 일자리 제공과 복지서비스 공급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충남에서도 지역 내 사회적 기업 육성을 통한 ‘착한 소비’를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18일 충남발전연구원이 발간한 충남리포트에 게재된 ‘충남도 사회적기업 육성전략’(임준홍 책임연구원·호서대 이용재 교수)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충남지역 사회적 기업은 6개로 전국 292개의 2%에 불과해 전국적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지원 부족, 지역사회 네트워크 부족, 사회적 일자리 사업과의 중복에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충발연이 지난해 충청권 사회적 기업 20개, 예비 사회적 기업 36개, 일반인 717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던 ‘사회적 기업의 욕구 및 의식조사’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한 후의 만족도가 ‘보통’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14개로 전체의 70%를 차지해 기대치보다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기업 이미지 개선 등을 위해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하고 있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수익창출이 어렵고 자치단체의 지원 부족, 시장 자율경쟁 강화 등으로 당초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연구진은 이에 따라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해 △설비비 지원을 통한 일자리 확보 △자치단체의 위탁사업 확대 △상품 생산과정에서 전문기술 및 인력 지원 △상품의 디자인 및 포장재에 대한 지원 확대 △공기업 지원을 통한 시장영역의 확보 △사회적 기업 생산제품 우선구매 확대 등의 지원방안을 제안했다.

연구진은 또 예비 사회적 기업에 대한 조사결과,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장애요인은 ‘운영자금 및 투자자금 부족, 수익창출형 일자리 전환 전략 부재’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같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지원대책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나인문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