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통합 추진 이후 충북지역에서 추진됐던 주요 개발사업들이 무산되거나 지연되면서 대책을 촉구하는 지역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특히 ‘청주동남지구 택지개발 조성사업’은 당시 세종시 원안에 따른 충청권 일대의 부동산 바람에 편승해 주택공사가 무리하게 택지개발을 추진하면서 문제를 불러일으켰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지난해 하반기 공사에 착공해야 했지만 두 공사의 통합에다 각종 잡음에 따른 주민보상 등이 지연되면서 현재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LH에 따르면 최근 확정한 ‘2010년 사업계획’ 결과 올해 추진할 예정이던 55개 택지·도시개발 사업 중 8곳의 사업을 보류, 7곳에서는 사업을 중단키로 했다.

이 가운데 충북은 청원오창(주거지역)에서 진행되던 개발사업이 LH 출범 이후 중단되면서 주민들은 어리둥절한 채 갈피를 못 잡고 있는 실정이다. 또 충북 청원군 현도지역은 지난 2006년부터 지구지정에 이어 지난해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전환됐지만 통합 이후 사업이 전면 보류됐다.

이처럼 LH가 기존 주요 사업을 잇달아 중단하거나 연기하는 것은 통합공사 출범 후 재정 적자가 심화돼 사업 전면 재검토에 나섰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게 되자 해당지역 주민들은 LH가 과거 주택공사의 무주택 서민 주택공급보다는 토지공사에서 추진했던 택지개발사업에 우선 배정하면서 차질이 불가피한 게 아니냐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게다가 정부의 혁신도시와 세종도시 등 국책사업에 따른 무리한 사업변경 등으로 다른 사업들이 답보상태를 보이거나 헛발질만 하고 있어 ‘공기업 선진화’라는 통합목적을 무색케하고 있다.

이달부터 지장물 조사를 통해 3차 주민보상에 들어가는 동남지구 내 청주 운동동 일대에는 LH를 비난하는 플래카드들이 이들의 현실을 대변하듯 도로변을 장식하고 있다.

오미영(55) 운동동 부녀회장은 “지난 17일부터 투기목적으로 입주한 외지인과 생활이 어려운 원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장물 조사에 들어갔다”면서 “LH가 서민들을 위한 아무런 이주대책도 없이 밀어붙이기식으로 일관하고 있어 누구를 위한 공기업인지 의심스러울 지경”이라고 분개했다.

이에 대해 LH 관계자는 “통합한 양 기관의 부채비율이 높아 전 사업지구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해 재무구조방안을 수립한 뒤 순차적으로 사업을 진행해 나갈 것으로 알고 있다”며 “동남지구는 2008년 기준으로 보상 당시 감정평가 시행 등을 거쳐 공정하게 보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최근 동남지구에 대한 사업성을 분석한 결과 2000억 원 정도 적자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하지만 토지주택공사가 대부분 무주택 서민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손실을 감수하고 사업을 벌이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