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유성 계룡스파텔(옛 국군휴양소)의 복합온천테마파크 조성사업이 수년째 제자리걸음만 걷고 있다.

당초 대전시와 유성구는 군(軍) 휴양시설을 개방, 도시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고품격 도시형 복합휴양단지에 어울리는 ‘복합온천테마파크’로 조성키로 했지만 군의 반발 속에 여전히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계룡스파텔은 유성 관광특구의 핵심지역에 위치, 대규모 부지(5만 7441㎡)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지난 50여 년 간 군 휴양시설이라는 특성상 민간의 이용을 극도로 제한, 지역민들로부터 '철옹성'이라는 비난을 받아왔다.

시는 민선 4기들어 해당 시설에 대한 민·군 공동 활용의 필요성 등을 역설하며, 국방부는 물론 청와대 등을 지속적으로 설득해 왔다.

실제 지난 2008년 5월 청와대 국방비서관을 필두로 국방부 장관, 당 대표, 육군참모총장에 이어 지난 10일에는 이명박 대통령에게도 계룡스파텔의 복합온천테마파크 조성을 건의했다.

그러나 군은 번번이 "군 휴양시설은 계룡스파텔이 중부권 내 유일하다"는 논리로 해당 시설의 민간 개방에 반대 의견을 개진했다.

군 관계자는 "현재 계룡스파텔의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용역을 의뢰한 상태로 결과물이 나오는대로 중장기 발전계획안에 반영할 계획이다. 그러나 대전시가 원하는 민·군 공동 시설로의 전환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만큼 군 자체적으로 검토, 수행하겠다"며 복합테마파크 조성사업에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지역 시민·사회단체 및 경제 관련 단체들은 "군 시설인 계룡스파텔이 유성특구의 핵심부에 위치해 도시의 종합적인 개발 및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시민추진위가 구성되는 등 대부분의 지역민들이 이 지역에 대한 재개발을 희망하고 있지만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어 군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만 팽배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민·군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복합레저단지로 조성하더라도 소유권이나 운영권은 군이 계속 갖도록 한다는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며 "폐쇄된 시설을 모든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 개방해 민·군·관의 상생협력 사례로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18일 주무 부서를 중심으로 국방부를 방문해 계룡스파텔의 활용 방안에 대해 다시 건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박진환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