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세 이전에 2차 성징이 발달하는 ‘성조숙증’으로 병원을 찾는 어린이가 급증하고 있다.
17일 을지대병원에 따르면 지난해 ‘성조숙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822명으로 2008년도(502명)와 2007년도(217명)와 비교해 각각 2.5배와 3.8배가 급증했다. 특히 환자의 대부분은 여자아이로 지난 3년간 병원을 찾은 전체 1579명 가운데 95.5%인 1511명을 차지했다.
‘성조숙증’은 유방 발달, 고환 크기의 증가, 음모 발달 등의 2차 성징이 여자아이의 경우 8세 이전, 남자 아이의 경우 9세 이전에 나타나는 것을 뜻한다.
이는 빠른 뼈의 성숙을 가져와 성장판이 조기에 닫히기 때문에 키가 제대로 크지 못하거나 이로 인한 심리적, 정신적인 문제도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을지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강주형 교수는 "프탈레이트와 비스페놀A 등의 환경호르몬과 비만이 조기 사춘기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규칙적인 운동과 고른 영양섭취가 아이의 정상적인 사춘기 발달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17일 을지대병원에 따르면 지난해 ‘성조숙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822명으로 2008년도(502명)와 2007년도(217명)와 비교해 각각 2.5배와 3.8배가 급증했다. 특히 환자의 대부분은 여자아이로 지난 3년간 병원을 찾은 전체 1579명 가운데 95.5%인 1511명을 차지했다.
‘성조숙증’은 유방 발달, 고환 크기의 증가, 음모 발달 등의 2차 성징이 여자아이의 경우 8세 이전, 남자 아이의 경우 9세 이전에 나타나는 것을 뜻한다.
이는 빠른 뼈의 성숙을 가져와 성장판이 조기에 닫히기 때문에 키가 제대로 크지 못하거나 이로 인한 심리적, 정신적인 문제도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을지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강주형 교수는 "프탈레이트와 비스페놀A 등의 환경호르몬과 비만이 조기 사춘기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규칙적인 운동과 고른 영양섭취가 아이의 정상적인 사춘기 발달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