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시는 현재 KAIST 온라인전기자동차사업단이 개발 중인 온라인 전기자동차를 빠르면 2012년 대전지역 시내버스 노선에 시범 도입, 운행키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8월 12일 KAIST와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일부 노선에 대한 시범 도입을 위한 사전 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시에 따르면 20㎞를 기준으로 시내버스 노선(차량 10대)에 온라인 전기자동차를 도입, 운행할 경우 도로에 급전 라인 및 전기버스 집전 시스템 설치해야 하며, 소요비용은 200억 원(추정치)으로 40%만 설치 시 100여억 원이 소요된다.
지난 2008년 6월부터 본격적인 개발에 나선 KAIST는 지난해 2월 세계 최초로 급집전효율 80%(지면위 1㎝)가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데 이어 7월에는 자체 개발한 급집전장치를 일반버스에 장착, 급전라인이 설치된 지면위 12㎝ 이상에서 급집전효율을 최대 70% 까지 달성하는데 성공했다.
KAIST 관계자는 "온라인 전기버스는 기존 CNG 시내버스에 비해 75%의 연비 향상 효과가 기대되며, 연간 2200만 원 이상의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진환·이승동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