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청주상당경찰서는 16일 오전 우암초 인근에서 이찬규 서장과 우암초교 1학년 신입생 지도교사 등 30명이 참석한 가운데 초등학교 입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안전하게 길 건너기’ 교통안전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청주상당경찰서 제공 | ||
충북경찰이 지역토착·권력형·교육계 비리에 대한 강도 높은 수사를 진행 중이거나 굵직한 결과물을 내놓고 있다.
과거 토착비리·사이비언론 단속 때 경찰이 내놓은 결과물은 고작 퇴직 지방의원들의 소소한 범죄 내지 사이비기자들의 공갈·협박 등 '잔챙이 범죄'가 주를 이뤘다.
하지만 최근 충북경찰의 성적표는 '촌놈 경찰'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전문화·고급화 패턴으로 변모했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
수사·정보 등 전문지식을 겸비한 고급인력의 배출과 '무풍지대'로 인식된 권력층에 대한 성역 없는 수사, 신뢰도 향상을 위한 '제 살 도려내기식' 감찰이 주효했다는 게 중론이다.
◆'핵심 브레인' 배출
경찰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충북에도 고급인력이 배출되고 있다. 경찰 간부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경찰대와 경찰간부후보생시험 출신들이 수사·정보부서에 포진돼있다.
충북지방경찰청의 경우 모든 수사를 진두지휘하는 수사과장 이문수 총경과 다른 정보기관 못잖은 지역동향파악과 범죄첩보입수 등을 담당하는 ‘정보관들의 수장’ 박세호 정보과장(총경)은 모두 경찰간부(36기) 출신이다.
과거 '낭중취물'로 인식됐던 순경공채합격도 이젠 '하늘의 별 따기'다. 올해 순경공채만 봐도 남자 33.7대1, 여자 40.3대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점이 이를 방증한다.
충북경찰의 '핵심 브레인'들이 각 수사·정보부서에 포진돼 치밀한 전략과 고도의 기법을 바탕으로 공직비리 척결에 나서면서 지역 정·재계 등 권력층 비리 수사를 척척 해내고 있다.
주요 사례로는 지난달 충북청이 충북개발공사 사장 채모 씨가 직원들로부터 매달 돈을 상납받아 골프비 등으로 사용했다는 첩보를 입수, 수사를 벌이고 있다. 1월 진천에서는 증빙서류를 위조해 수억원의 보조금을 받아 챙긴 농민들과 보조금 관리 업무를 소홀히 한 공무원 등 20명이 적발됐고, 제천에서도 자치단체가 '꿈나무 운동선수 육성' 명목으로 지급한 보조금을 횡령한 장학사와 교사 등 6명이 덜미를 잡혔다.
◆성역 없는 수사
다수의 경찰 간부들은 2000년대 초만 해도 권력층에 대한 수사는 엄두조차 내지 못했다고 입을 모은다.
충북도 예외는 아니었다. 도내 각급 기관·단체장은 물론 현직에 있는 지방의원 계층들도 경찰수사의 '무풍지대'로 인식돼왔던 게 사실이다.
토착비리 수사를 해도 5급 이하 행정공무원이나 전직 지방의원, 민간단체장들의 개인적 범죄, 환경관련 사이비 기자들의 공갈·협박을 밝혀내는데 그쳤다.
하지만 해가 갈수록 각계각층 인사들에 대한 수사가 이뤄지고, 지난해부터는 지역 정·재계는 물론 언론계에 대한 수사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과거 국정원과 검찰에서나 가능했던 특정계층 비리에 대한 수사가 이제는 경찰에서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비위가 의심되면 모든 계층을 대상으로 '성역 없는 수사'를 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토착비리를 척결하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 영향이 있기는 하지만 무엇보다도 향피제 적용으로 연관관계가 전혀 없는 충북에 발령된 이철규 충북청장의 굳은 의지가 있어 가능하다는 게 경찰 안팎의 중론이다.
◆'제 살 도려내는' 감찰
비리 직원에 대한 내부감찰이 철저히 이뤄지면서 경찰의 자정력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외부노출 등으로 비위사실이 수면위로 떠올라야만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감찰을 했던 그동안의 수동적 입장에서 잠복된 비리를 낱낱이 파헤쳐 혐의가 드러나면 가차 없이 징계하는 능동적 감찰로 바뀌었다.
실례로 최근 불법 게임장을 신고한 민원인의 진술조서를 무단 폐기하거나 공사업자에게 물품을 요구한 의혹 등으로 음성서 소속 경찰관 3명에 대해 감찰이 진행 중이다.
곪을 대로 곪다가 터져버리고 나서야 뒤늦게 수습하는 소극적 감찰이 아닌 암행순시를 통해 비위사실을 드러나면 환부를 도려내는 적극적 감찰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경찰 관계자는 "불법행위를 단속해야 하는 경찰관들이 되레 비리를 저지른다는 것은 경찰 수사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가장 큰 요인"이라면서 "청렴성과 도덕성 향상을 위해 앞으로도 내부감찰을 더욱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