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토지주택공사 충북본부가 서민주택 보급을 위해 지난 2005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청주동남지구 택지개발 조성사업이 각종 주민 마찰과 땅투기 만연으로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택지개발지구에 보상을 목적으로 만들어 놓은 주택들이 곳곳에 들어서 있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한국토지주택공사 충북본부가 서민주택 보급을 위해 지난 2005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청주동남지구 택지개발 조성사업’이 각종 주민 마찰과 땅투기 만연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충청투데이는 이에따라 3회에 걸쳐 청주동남지구 사업의 현황과 그 곳에 발생하고 있는 각종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책을 모색해 본다. 편집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 2005년 12월부터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암·용정·운동·방서·지북·평촌동 일원 222만 2000㎡에 청주동남지구 택지개발 조성사업을 추진했다.

당초 사업 목적은 서민주택을 위한 택지의 효율적인 개발과 저렴한 공급으로 주택난을 해소, 주거생활의 안정과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LH는 이를 위해 지난 2005년 12월 택지개발예정지구지정 고시를 실시하고, 2008년 5월 택지개발사업 개발계획승인과 지난해 택지개발예정지구지정(변경)을 각각 고시했다.

전체 사업기간은 지난 2008년 5월 2일부터 오는 2015년 3월 31일까지로, LH가 사업비 9880억 원(용지비 5739억 원, 조성비 4087억 원)을 들여 수용인구 4만 6911명, 수용호수 1만 5637호(단독주택 568호, 공동주택 1만 5069호)의 입주를 계획했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사업계획수립 이전부터 택지개발에 대한 사전정보를 입수한 투기꾼들의 땅 투기에다 보상절차를 추진하고 있는 주민들의 반발로 어려움을 겪었다.

개발계획 당시 월오지구로 지정했다가 동남지구로 명칭이 바뀐 이 일대는 감정평가, 지장물 조사, 토지 및 건물 보상, 실시계획 승인 등의 작업을 거쳐 2015년 완공을 목표로 지난해 하반기 공사에 착수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LH가 개발계획 당시 충청권 일대의 부동산 붐에 편승해 무리하게 추진한 택지개발사업이 오히려 투기꾼 조장에다 주민마찰을 불러일으키면서 여전히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LH는 지난해 1월 1차 협의보상을 시작으로, 같은 해 5월 2차 협의보상에 들어갔고, 이달 말부터 3차 협의보상을 위한 토지와 지장물 조사를 거쳐 오는 8월부터 협의보상에 들어갈 계획이다.

동남지구 주민대책위원회 관계자는 “충청권 아파트가 포화상태를 이루고 있는 시점에 공기업인 토지주택공사가 너무 돈벌이에만 급급한 게 아니냐”면서 “원주민들에 대한 보상가격을 주변 거래가격과 동일하게 적용하지 않는 한 제대로 된 보상이 진행되지 않을 것이고, 사업도 난항을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LH 관계자는 “현재 68% 정도의 보상이 끝난 상태로, 개발을 위한 사전답사 등 시와 주공의 개발 움직임으로 인해 투기꾼들이 성행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난해 개발예정지구가 변경된 15만 7000㎡에 대한 개발계획 승인이 이루어지는 대로 본격적인 3차 협의보상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