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 후 외식 대신 집에서 직접 조리하는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축산물, 수산물, 라면 등의 소비는 늘어난 반면 냉장·냉동식품은 감소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5일 발표한 '소비자 장바구니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주부들은 축산물 구매를 전년 대비 10.9% 늘렸으며, 수산물(6.8%), 라면(4.8%), 농산물(1.6%) 등도 더 많이 소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냉동·냉장식품의 구매는 14.0% 줄었고, 이·미용품(-12.8%)과 주류(-6.2%)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40·50대의 장바구니 무게는 줄었지만, 20·30대는 오히려 늘어났다.
경제위기 후 1년간 40대 가정은 4.0%, 50대는 1.1% 각각 지출이 감소한 데 비해 20대는 8.1%, 30대는 4.2% 증가했다.
소득계층별로는 월평균소득 350만 원 이상의 가정주부들은 장바구니 지출을 3.5% 늘렸지만, 소득 200만 원 미만 가정은 2.9%, 200만 원∼350만 원 가구는 1.4% 가량 지출을 줄이는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또 1회 평균 구매 금액은 경제위기 전인 2008년 2만 2088원에서 지난해에는 2만 1979원으로 줄었다.
가구당 평균 구매횟수는 월 9.9회에서 10.1회로 2.0% 증가, '자주 적게' 구매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생필품 쇼핑장소로는 대형마트가 37.7%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슈퍼마켓(23.6%), 농수축협(5.8%), 인터넷쇼핑(2.2%), 백화점(2.0%), 홈쇼핑(0.5%), 편의점(0.1%)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대한상의가 닐슨컴퍼니에 의뢰해 전국 3163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
또 축산물, 수산물, 라면 등의 소비는 늘어난 반면 냉장·냉동식품은 감소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5일 발표한 '소비자 장바구니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주부들은 축산물 구매를 전년 대비 10.9% 늘렸으며, 수산물(6.8%), 라면(4.8%), 농산물(1.6%) 등도 더 많이 소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냉동·냉장식품의 구매는 14.0% 줄었고, 이·미용품(-12.8%)과 주류(-6.2%)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40·50대의 장바구니 무게는 줄었지만, 20·30대는 오히려 늘어났다.
경제위기 후 1년간 40대 가정은 4.0%, 50대는 1.1% 각각 지출이 감소한 데 비해 20대는 8.1%, 30대는 4.2% 증가했다.
소득계층별로는 월평균소득 350만 원 이상의 가정주부들은 장바구니 지출을 3.5% 늘렸지만, 소득 200만 원 미만 가정은 2.9%, 200만 원∼350만 원 가구는 1.4% 가량 지출을 줄이는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또 1회 평균 구매 금액은 경제위기 전인 2008년 2만 2088원에서 지난해에는 2만 1979원으로 줄었다.
가구당 평균 구매횟수는 월 9.9회에서 10.1회로 2.0% 증가, '자주 적게' 구매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생필품 쇼핑장소로는 대형마트가 37.7%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슈퍼마켓(23.6%), 농수축협(5.8%), 인터넷쇼핑(2.2%), 백화점(2.0%), 홈쇼핑(0.5%), 편의점(0.1%)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대한상의가 닐슨컴퍼니에 의뢰해 전국 3163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