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는 다음달 14일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을 앞두고 도 차원의 중장기 녹색성장 프로젝트를 마련했다.
최근 지구촌의 최대화두로 부상한 녹색성장을 위한 중장기 프로젝트 조기완성을 위해서는 국가나 정부보다 지자체 의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실행력을 담보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도는 녹색성장의 비전을 ‘환경과 성장이 조화로운 충남’에 두고, 비전달성을 위한 3대 전략으로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자립 △녹색기술산업의 신성장동력 창출 △건강하고 행복한 녹색생활문화 조성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또 녹색성장 달성의 10대 정책사업으로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탈(脫)석유 및 에너지 자립강화 △기후변화 대응역량 강화 △녹색기술의 경쟁력 강화 △산업의 녹색화와 녹색산업 육성 △녹색산업 구조 고도화 △녹색 경제기반 구축 △녹색도시·건축·교통 만들기(3G구현) △녹색생활 실천문화 확산 △녹색마을 조성 및 생태관광 활성화를 적극 추진키로 했다.
이를 위해 오는 2020년까지 도내 온실가스 30% 감축을 위한 부문별 감축 마스터 플랜을 수립하고, 탄소 배출권 거래소 43개소를 운영하며, 신재생 에너지 보급률을 0.2%(2007년 기준)에서 오는 2015년까지는 1%까지 확대하는 한편, 탄소나무 10억그루를 심기로 했다.
아울러 녹색기술 4권역별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석탄가스화 복합발전(북부권) △태양열과 지열(서해안권) △바이오매스(내륙권) △소수력 클러스터(금강권)를 구축하고, 그린카·차세대에너지(연료전지)·유망 녹색기업 80개 업체 등 5대 주력산업을 육성키로 했다.
이 밖에 범도민녹색생활 실천을 위한 집단에너지시설 설치, 녹지공간확충 등 전국최고의 에너지 저소비형 도청 신도시 건설, 그린 홈(Home) 1만호 보급, 탄소 중립마을 20개소 조성, 자전거도로 915㎞ 확충 등 미래 충남을 이끌어갈 녹색성장 정책을 중점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나인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