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전국동시지방선거가 70여 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후보자들 마다 대학생 끌어안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번 선거 출마에 뜻을 세운 후보자들은 본격적인 선거전이 시작되기 전에 상대 후보자들보다 먼저 대학생 선거운동원을 확보하기 위해 동원 가능한 모든 인맥을 통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최근 치러진 몇 차례 선거에서 젊은 대학생들을 내세운 후보들이 어느정도 성과를 거두면서 이들에 대한 주가가 올랐고 광역단체장과 광역의원, 기초단체장, 기초의원, 교육감 등 여러 선거가 동시에 치러지면서 영입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거나 보수성향의 정당 후보자들은 자신의 노쇠한 이미지를 젊은 이미지로 포장하기 위해 이들의 영입에 더욱 적극적일 수 밖에 없다.
일부 후보자들은 선거운동원 확보 뿐만 아니라 ‘대학생 조직’까지 흡수하기 위해 총학생회나 단과대 학생 등과 접촉을 시도하고 있다.
총학생회장 등 학생회 간부들의 경우 규모는 작지만 대학 내에서 선거를 치르며 조직을 관리해본 경험이 있어 선거전에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이들이 내놓는 참신한 선거운동 아이디어도 현장 적용이 가능하다는 판단때문이다.
또 학생들 입장에서도 경제가 어려워 아르바이트 자리를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비교적 힘들지 않은 선거운동을 통해 용돈을 벌 수 있다는 점에서 양 쪽 모두의 이해관계 맞아 떨어지고 있어 상당수 학생들이 이번 선거에 ‘폴리던트’로 참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역 한 예비후보측 관계자는 “선거 문화가 바뀌면서 동네 아줌마들 보다는 대학생 선거운동원을 선호하는 후보자들이 늘고 있다”며 “대부분의 후보들이 같은 돈과 같은 시간을 들이고 효과가 더 좋은 대학생들을 영입하려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대학생들이 선거법 위반 유혹에 노출될 가능성 또한 농후하다. 일부 후보들은 총학생회장이나 단과대 학생회장을 영입하기 위해 법에 정해진 수당 외에 당선후 취업을 약속하기도 하고 학교 축제 등에 대한 보이지 않는 후원을 제시하기도 한다는 소문이다.
또 공식 선거운동원으로 등록하기 전 학생들을 영입하는 과정에서 금품과 향응이 개입할 가능성이 충분히 내재돼 있다.
지역 모 대학 학생회 관계자는 “얼마전부터 졸업한 선배와 지인들을 통해 선거를 도와달라는 부탁을 여러 곳에서 받고 있다”며 “은근히 당선 후 취업을 약속하는 곳도 있었지만 학생회가 선거에 개입하는 것이 옳은지도 모르겠고 혹시 선거법에 문제가 될까 싶어 시간을 갖고 좀더 생각해보겠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최근 치러진 몇 차례 선거에서 젊은 대학생들을 내세운 후보들이 어느정도 성과를 거두면서 이들에 대한 주가가 올랐고 광역단체장과 광역의원, 기초단체장, 기초의원, 교육감 등 여러 선거가 동시에 치러지면서 영입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거나 보수성향의 정당 후보자들은 자신의 노쇠한 이미지를 젊은 이미지로 포장하기 위해 이들의 영입에 더욱 적극적일 수 밖에 없다.
일부 후보자들은 선거운동원 확보 뿐만 아니라 ‘대학생 조직’까지 흡수하기 위해 총학생회나 단과대 학생 등과 접촉을 시도하고 있다.
총학생회장 등 학생회 간부들의 경우 규모는 작지만 대학 내에서 선거를 치르며 조직을 관리해본 경험이 있어 선거전에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이들이 내놓는 참신한 선거운동 아이디어도 현장 적용이 가능하다는 판단때문이다.
또 학생들 입장에서도 경제가 어려워 아르바이트 자리를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비교적 힘들지 않은 선거운동을 통해 용돈을 벌 수 있다는 점에서 양 쪽 모두의 이해관계 맞아 떨어지고 있어 상당수 학생들이 이번 선거에 ‘폴리던트’로 참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역 한 예비후보측 관계자는 “선거 문화가 바뀌면서 동네 아줌마들 보다는 대학생 선거운동원을 선호하는 후보자들이 늘고 있다”며 “대부분의 후보들이 같은 돈과 같은 시간을 들이고 효과가 더 좋은 대학생들을 영입하려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대학생들이 선거법 위반 유혹에 노출될 가능성 또한 농후하다. 일부 후보들은 총학생회장이나 단과대 학생회장을 영입하기 위해 법에 정해진 수당 외에 당선후 취업을 약속하기도 하고 학교 축제 등에 대한 보이지 않는 후원을 제시하기도 한다는 소문이다.
또 공식 선거운동원으로 등록하기 전 학생들을 영입하는 과정에서 금품과 향응이 개입할 가능성이 충분히 내재돼 있다.
지역 모 대학 학생회 관계자는 “얼마전부터 졸업한 선배와 지인들을 통해 선거를 도와달라는 부탁을 여러 곳에서 받고 있다”며 “은근히 당선 후 취업을 약속하는 곳도 있었지만 학생회가 선거에 개입하는 것이 옳은지도 모르겠고 혹시 선거법에 문제가 될까 싶어 시간을 갖고 좀더 생각해보겠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